후두

후두

[ larynx , 喉頭 ]

요약 기관 입구에 있는 기관. 발성기관이며, 음식을 먹을 때 음식이 기도로 들어가지 않도록 차단하는 역할도 한다.
두개골 시상면

두개골 시상면

후두는 목의 제3경추에서 제6경추 정도 높이에 있으며, 공기의 흐름과 삼킨 음식물의 흐름이 교차하는 점에 위치한다. 후두는 윗부분은 중인두(中咽頭), 아랫부분은 기관(氣管)과 연결되어 있다. 또 후두의 뒷부분에는 하인두(下咽頭)가 위치해 있으며 후두 앞부분은 목에서 볼록하게 만져진다.

후두를 이루는 연골로는 말굽모양의 큰 연골인 갑상연골(甲狀軟骨)이 있다. 남성의 경우 사춘기가 되면 이 갑상연골이 튀어 나오게 되는데, 이것을 후두융기(喉頭隆起)라 하며 ‘아담의 사과(Adam’s apple)’로도 부른다. 그밖에 여러 연골이 후두를 구성하는데 윤상연골(輪狀軟骨)과 후두개연골(喉頭蓋軟骨)이 있으며 피열연골(披裂軟骨), 소각연골(小角軟骨), 설상연골(楔狀軟骨)이 있다. 이 연골들은 인대와 결합조직으로 이어져 있으며 안쪽은 점막으로 덮여 있다. 후두를 이루는 조직 중 후두내근(喉頭內筋)이 수축하면, 관절로 연결되어 있는 연골은 서로 위치를 바꿀 수 있다.

후두는 본래 호흡기관의 일부로, 폐에 이물질이 침입하는 것을 막는 괄약근으로서 작용하고 있었으나 진화 도중 연골과 성대가 생겨 발성을 하게 되었다고 생각된다. 후두의 작용은 다음과 같다.

① 기도의 보호: 음식을 삼킬 때에나 구토할 때에는 음식물이 침입하지 못하도록 닫힌다. 이물질이 후두점막을 자극하면 반사적으로 기침을 하게 된다.

② 발성: (聲門)이 닫히고, 호기류(呼氣流)에 의하여 성대가 진동하면 후두원음(喉頭原音)이 생긴다. 성대의 긴장, 진동부분의 폭 ·길이, 호기압(呼氣壓)의 크기에 의하여 음의 고저나 강약이 생긴다.

③ 호흡작용: 안정호흡 때에도 성문은 호기 때에 좁아지고, 흡기 때는 다소 넓어진다.

④ 의 고정: 후두가 닫히면 흉곽이 고정되고, 또 숨을 모아 복압(腹壓)을 걸 수도 있다.

후두의 질환에는 선천성 기형 외에, 협착·외상·급성후두염·가성클루프·만성후두염·후두결핵·후두근마비·후두종양(양성·악성) 등이 있다. 후두는 호흡 및 발성에 관계하기 때문에 후두질환의 경우에는 양쪽 모두 증세가 나타나는데, 호흡곤란·(喘鳴)·쉰목소리·실성 등이 보인다. 강한 후두성 호흡곤란의 경우는 기관절개 수술을 해야 한다.

후두 본문 이미지 1후두후두회염성대기관성문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관련이미지

호흡기관

호흡기관 출처: doopedia.co.k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