회충

회충

[ roundworm , 蛔蟲 ]

요약 회충목 회충과의 선형동물.
회충 (Ascaris lumbricoides)

회충 (Ascaris lumbricoides)

학명 Ascaris lumbricoides
동물
선형동물
회충목
회충과
멸종위기등급 미평가(NE : Not Evaluated, 출처 : IUCN)
크기 암컷 20∼35㎝, 수컷 15∼25㎝
몸의 빛깔 연한 분홍색이거나 누런빛을 띤 흰색
생활양식 기생생활
서식장소 소장
분포지역 세계의 온난다습한 지방

거위라고도 하며, 쌍선충류에 속하는 인체충이다. 단순히 회충이라고 하면 인체기생충인 사람회충을 가리키지만, 돼지·개·고양이·말 등에 기생하는 것은 각각 의 이름에 따라 돼지회충·개회충·고양이회충·말회충 등으로 구별한다. 온난다습한 지역에서 많이 발견되며 특히 인분을 로 사용하던 농촌 지역에 많았다. 후 차차 감소되어 도시에서는 거의 볼 수 없게 되었다.

회충은 신체의 소장에 기생하는데, 몸빛깔은 연한 도화색이거나 황백색이다. 몸길이 암컷 20∼35cm, 수컷 15∼25cm이다. 몸은 긴 원기둥 모양이고 수컷의 말단은 갈고리 모양으로 굽어 있으며 암컷의 몸 앞부분 1/3지점에 생식공이 있다. 입은 몸의 앞끝에 있는데 3개의 입술을 가지며, 소화관은 몸의 중앙을 지나 항문에 이른다.

생식기는 몸의 대부분을 차지하고 있으며 암컷은 하루에 20만 개 이상의 알을 낳는다. 분변과 함께 밖으로 나온 알은 온도·습도·산소가 적당하면 발육되며, 여름에는 3주만 경과하면 속에 유충이 형성되어 감염성을 가지게 된다. 유충이 형성되지 않은 알이나 암컷만이 기생했을 때 생기는 불수정란(不受精卵)은 인체에 들어와도 그대로 소화관을 지나 배출된다.

알이 숙주에 경구 침입하면 십이지장에서 유충이 되고 그 크기는 0.2∼0.3mm이다. 유충은 장벽을 뚫고 들어가 문맥·간을 거쳐 혈관 또는 림프관을 타고 심장·폐에 들어간다. 기관지를 타고 올라와 기관·후두·인두를 지나 다시 식도를 거쳐 소장에 이르고 여기에서 비로소 자리를 잡고 발육한다. 그러나 장 이외의 곳에서 기생할 수도 있다. 알은 입으로 들어온 지 약 2개월 반이면 성충이 되고 알을 낳기 시작한다.

회충란은 건조·한랭·약품 등에 비교적 저항력이 강하고, 채소에 부착하거나 먼지에 섞여 사람의 입으로 침입하여 감염된다. 감염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인분을 비료로 쓰지 않을 것과 채소의 청정재배(淸淨栽培)를 적극적으로 해야 한다. 회충란은 60℃에서 수 초간 가열하면 죽는다.

회충의 기생에 의한 증세에는 유충과 성충에 의한 것이 있다. 유충에 의한 증세는 한꺼번에 여러 개의 충란을 삼켰을 때 볼 수 있으며, 감염 후 1주간쯤 되면 기침과 땀이 나오거나 때로는 발열이 있다. 심할 때는 출혈성폐렴을 일으킨다. 이 증세는 유충이 폐를 지나갈 때에 일어난다. 성충에 의한 증세로서 가장 많은 것은 복통이다. 그밖에 이미증(異味症)·감각이상·경련 등의 신경증세를 나타내는 일이 적지 않다.

회충으로 위험한 현상은 기생충이 일반적인 기생부위를 벗어나 여러 장기로 들어가는 것이다. 위에 들어가서 위경련양발작, 쓸개에 들어가서 염증을 일으키거나 담석양발작을 일으키고, 이자에 들어가서 췌장염을 일으키며, 또 충양돌기에 들어가서 충수염을 일으킨다. 드물게는 장벽을 뚫고 복막염을 일으키며, 그밖에 신체 각부에 침입하여 위험한 증세를 일으킨다. 또한 충란이 핵이 되어 담석을 형성하는 수도 있다. 회충증의 치료에는 피페라진과 산토닌이 쓰인다. 특히 산토닌과 해인초(海人草)에 들어 있는 카이닌산과의 합제는 구충에 상승적인 효과가 있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