활빈당

활빈당

[ 活貧黨 ]

요약 한말에 남부지방에서 봉기(蜂起)한 농민군 중에서 강력한 세력을 떨쳤던 집단.

동학농민운동 후에 남아 있던 농민군은 1896년 운동에 가담한 후, 흩어져 화적(火賊)으로 지내며 와 에 희망을 걸었으나 여의하지 않자, 1899년부터는 여러 가지 이름의 집단을 만들어 저항운동을 전개했는데, 이들 중 활빈당은 《(洪吉童傳)》을 사상 배경으로 삼고, 각지에 출몰하여 부호의 재물을 빼앗아 빈민에게 나누어주는 활빈(活貧) 활동을 벌였다.

그들은 평등의 실현, 빈부격차의 타파, 국정혁신을 목표로 하였고, 구국안민책(救國安民策)으로 ① 곡물수출을 금하고 외국상인의 출입을 막을 것, ② 영세한 행상인에 대한 징세를 폐할 것, ③ 전지(田地)를 황폐하게 하는 금광의 채굴을 엄금할 것, ④ 균전법(均田法)을 실시할 것, ⑤ 곡가를 안정시킬 것, ⑥ 악형(惡刑)을 폐하여 인정(仁政)을 시행할 것, ⑦ 농사에서 폐해를 제거할 것, ⑧ 철도부설권을 외국인에게 주지 말 것 등을 주장했다. 그 조직으로, 전체를 통솔하는 노사장(老師丈) 밑에 각 지방에 유사(有司)를 두었으며, 1년에 한 번의 대장(大場)과 수시로 열리는 장(場)을 의결기관으로 삼았는데, 1905년 이후 의병(義兵)에 흡수되었다.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