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학적 방제

화학적 방제

[ chemical control , 化學的防除 ]

요약 작물의 생육을 화학적으로 보호 ·조절하려는 농업기술.

작물의 생육을 재배상 바람직한 생육상(生育相)으로 바꾸거나, 각종 재해로부터 작물을 보호하려는 목적으로, 작물의 생리현상에 관여하는 기구에 대한 지식을 활용하거나, 또는 새로운 화학물질을 개발하여 적극적으로 작물을 조절하려는 농업기술이다.

본래는 약제(藥劑)에 의한 해충방제 및 잡초방제, 때로는 화학물질에 의한 생장의 제어라는 뜻으로 사용되기도 하는데, 후자의 경우만으로 사용되는 일도 있다. 내용적으로 보면, (休眠) 타파와 연장, 발아(發芽)의 촉진과 억제, 식물체의 왜화(矮化), 낙엽의 촉진과 방지, 이층형성(離層形成) 촉진과 방지, 재생현상의 촉진, 건조저항의 증진, 상해(霜害) 저항성의 증진, 발근(發根) 촉진, 화아분화(花芽分化)의 촉진과 억제, (抽臺)의 촉진과 방지, 개화기의 촉진과 억제, 착과(着果)의 촉진과 억제, 단위결과(單爲結果)의 촉진, 잎이나 과실 빛깔의 증진, 과실의 성숙 촉진과 억제 등이 대상이 된다. 사용되고 있는 화합물은 합성식물을 비롯하여, 종전까지 살충제 ·살균제 ·제초제로 사용되고 있던 여러 가지 화합물도 농도나 사용방법을 바꾸어 시험되고 있다.

실제로 사용되는 예로, 에 의한 씨없는 포도, 시클라멘 등의 개화촉진, 말레산히드라지드에 의한 담배의 겨드랑이눈 억제, 본래 멸구나 진딧물의 살충제인 데나폰을 사과의 적과제(摘果劑)로서 이용, 하와이에서의 파인애플의 나프탈렌아세트산에 의한 개화조절 등이 있다. 그러나 실제로 이용되고 있는 것은 원예분야뿐이며, 그 밖의 농업이나 임업분야에서는 앞으로 개발해나가야 할 연구과제이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