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음집

화음집

[ 華陰集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화음(華陰) 이창정(李昌庭:1573∼1625)의 문집.
구분 문집, 필사본
저자 이창정
시대 조선시대
소장 규장각

. 3권 2책. 도서. 서문이나 이 없어 편찬경위와 필사년을 알 수 없다. 수록된 글 중 시는 전국의 명승지와 유적지, 사찰 등을 유람하면서 느낀 감회를 경관에 비추면서 읊고 있다. 문신으로서 국가경영에 참여하면서 느낀 국가경영의 기본적인 도리와 원리를 〈만세사업설(萬世事業說)〉과 〈치국여치병론(治國與治病論)〉에서 설명하고 있다.

〈동행록(東行錄)〉은 강원도를 유람하면서 자연의 아름다움과 그것에 대한 느낌을 기록한 기행문이다. 〈문견록(聞見錄)〉은 한양성(漢陽城)의 구실과 그것을 둘러싸고 있는 경기지방의 특성, 그리고 경기지방과 한양성의 상호관계 등을 논하면서 경기지방은 정치 경제적으로는 한양의 배후지이며 적의 칩입 때에는 한양성 방위의 결정적 지역임을 지적하였다.

〈진사록(辰巳錄)〉은 (金誠一)의 전기록으로 그의 덕행·학식·업적·애국심 등을 서술하였다. 을 통해 느낀 여러 가지 사실들을 다양한 경로로 설명하면서 그것들의 중요성을 일깨워 주고 있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