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엄일승법계도

화엄일승법계도

[ 華嚴一乘法系圖 ]

요약 신라의 승려 의상(義湘:625~702)이 화엄학의 법계연기(法界緣起) 사상을 서술한 그림시[圖詩].
구분 법계도(法界圖)
저자 의상(義湘)
시대 신라시대

'법성원융무이상(法性圓融無二相)'에서 시작하여 '본래부동명위불(本來不動名爲佛)'로 끝나는 7언(言) 30구(句)의 게송(偈頌)으로 법계연기사상의 요체를 서술하였는데, 중앙에서부터 시작하여 54번 굴절시킨 후 다시 중앙에서 끝나는 의도된 비대칭(非對稱)의 도형이 되도록 하였다. 게송의 앞에는 법계도 제작의 의도를 적고 뒤에는 법계도의 의미를 설명한 석문(釋文)을 붙였다.

법계도의 형태는 원래 흰색 바탕에 검은 색의 글씨로 게송을 적고 붉은 색의 선이 게송의 진행방향을 나타내는 것이었는데, 이는 각기 물질세계인 기세간(器世間)과 수행의 주체인 세간(衆生世間), 그리고 깨달음의 세계인 지정각세간(智正覺世間)을 상징하며 이와 같이 깨달음의 경지에 나타난 우주 전체를 드러냈다는 점에서 법계도는 '해인도(海印圖)'라고도 한다. 법계도의 형태가 끊임없이 이어지는 모습을 취한 것은 의 가르침이 하나의 진리인 것을 상징한 것이고, 많은 굴곡을 둔 것은 중생의 근기에 따라 가르침의 방편이 달라지는 것을 나타낸 것이다. 또 첫글자인 '법(法)'과 끝 글자인 '불(佛)' 두 글자는 각기 수행방편의 원 결과를 나타낸 것으로서, 이 두 글자를 중앙에 둔 것은 인과(因果)의 본성이 (中道)임을 보인 것이다.

법계도의 게송은 진리의 실재를 서술한 '자리행(自利行)'과 진리의 공덕을 서술한 '이타행(利他行)' 그리고 진리를 증득하는 과정을 서술한 '수행(修行)'의 3부분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자리행'에서는 하나의 티끌과 전우주가 상즉(相卽)하고 한 순간이 영원과 상통한다는 《》의 사상을 함축적으로 드러내었고, '이타행'에서는 진리를 깨달은 부처의 공덕이 중생들에게 커다란 이익을 가져옴을 노래하였다. 또 '수행'에서는 수행자가 망상을 끊고 진리를 깨닫는 순간 중생은 본래부터 부처인 것을 알게 된다고 하였다.

의상은 이러한 사상이 방편의 가르침인 3승(三乘)과 구별되는 화엄 1승(一乘)의 절대적 가르침이라고 하였다. 이 법계도는 의상이 중국에 유학하여 중국 화엄종 조사 (智儼)에게 수학할 때인 668년에 창작되었는데, 화엄의 진리에 대하여 서술한 책을 불사른 후 타지 않고 남은 210개의 글자를 가지고 게송을 짓고 법계도를 만들었다는 전설이 있다. 게송과 〈석문〉의 많은 부분이 지엄의 사상에 기초하고 있지만, 중국 화엄학과 달리 '수행'을 중요시하는 의상의 사상이 잘 표현되고 있으며, 특히 중국 화엄학에서는 나타나지 않는 독자적인 '이이상즉설(理理相卽說)'을 주장하여 신라 화엄학의 특색을 보여주고 있다. 의상은 이 법계도를 매우 중요시하여 제자들에게 인가의 표시로 수여하기도 하였다.

의상의 사상을 이은 신라의 화엄학은 주로 이 법계도에 기초하여 수행하며 법계도의 사상을 심화시키는 방향으로 발전하였다. 의상의 문도들이 법계도에 대해 연구한 내용은 《화엄1승법계도기총수록(華嚴一乘法界圖記叢髓錄)》에 수록되어 있으며, 고려 초의 균여(均如)와 조선 전기의 (金時習)은 각기 《1승법계도원통기(一乘法界圖圓通記)》 및 《1승법계도주(一乘法界圖註)》를 찬술하여 <법계도>의 사상을 설명하였다.

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