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순 대전 유적

화순 대전 유적

[ 和順大田遺蹟 ]

요약 전남 화순군 사평면 사수리(泗洙里) 대전마을에 자리한 중기 ·후기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의 유적.
화순 대전 유적

화순 대전 유적

소재지 전남 화순군 사평면 사수리 대전마을
시대 중기 ·후기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

보성강의 지류인 동복천 옆 해발고도 112∼113m의 구릉에 자리잡고 있다. 주암댐 수몰지구 문화유적 발굴조사의 일환으로 1987∼1989년 3차에 걸쳐 충북대학 발굴팀이 발굴조사하였다. 31기의 을 조사하는 과정에서 중기 ·후기 구석기시대와 중석기시대문화층이 나옴으로써 이 유적이 여러 시기에 걸친 복합유적임을 알게 되었다.

고인돌의 형식은 바둑판식과 구덩식이 함께 있으며, 유구방향은 주변지세, 특히 동복천의 흐름과 일치하며, 물과 깊은 관계가 있음을 알게 되었다. 무덤방은 주변에서 쉽게 구할 수 있는 강돌과 막돌로 축조하였고, 바닥처리는 흙바닥과 납작한 돌을 사용한 것이 대부분이나 조약돌을 깔아 배수처리를 한 예도 보인다.

로는 통자루식의 간돌검 ·삼각형돌칼 ·돌화살촉 ·갈판 ·뗀돌도끼 등의 석기와 가 출토되었다. 이 외에 의식적인 유물로 구멍뚫린 돌과 ‘X’자 새긴 유물, 물고기 모양의 조각품 등이 출토되어, 고인돌사회에서 이루어진 장례의식과 당시 사람들의 신앙의 일면을 엿볼 수 있게 한다. 또 계속된 조사에서 중석기문화층에서는 이암제(泥岩製) 격지[剝片] 및 와 석영제(石英製)의 새기개 ·꽂개 등 조합식 도구로 사용할 수 있는 석기들이 나왔다. 후기 구석기문화층에서는 문화층의 성격을 규명할 수 있는 좀돌날몸돌(細石核) 및 좀돌날, 이 외에 긁개 ·밀개 ·새기개 ·찌르개 ·사냥돌 등의 석기가 출토되었다. 석기제작 방법을 알 수 있는 모룻돌과 망치 및 격지가 함께 출토되어 석기를 만들기 위한 석기제작소가 있었음을 알 수 있다.

이와 더불어 기둥구멍 24개의 막집터(30m3)도 발국되었는데, 전체적인 형태는 생나무 휘임형의 긴 타원형구조로 판단된다. 이 집터는 현재 승주고인돌공원에 이전 복원되어 있다. 중기구석기문화층에서는 직접떼기로 만든 긁개 ·밀개 ·찌르개 등이 출토되었다. 이 유적은 승주곡천유적과 단양수양개유적 등과 더불어 일본 규슈[九州]와의 선사문화 교류관계를 살필 수 있는 유적이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