화상회의시스템

화상회의시스템

[ video conference system , 畵像會議─ ]

요약 서로 먼 거리에 떨어져 있는 사람들끼리 각기의 실내에 설치된 TV 화면에 비친 화상 및 음향 등을 통하여 회의를 진행할 수 있도록 만든 시스템.

국내간은 물론 을 통해서 해외간에서도 할 수 있으므로 경비절감(출장비 등), 시간절약(여행시간 등) 등 경제적 이점이 큰 첨단기술이다. 화상회의실에는 여러 대의 TV 와 카메라·마이크·스피커 외에 필기한 정보가 그대로 상대방에 표시되는 전자칠판·서화송상기·슬라이드 송상기· 등이 장치된다.

이 시스템은 당사자들이 서로 원거리에서 회의를 진행하고 있다는 거리감을 느끼기 쉬운 난점이 있으므로, 회의 참석자가 다 같이 임장감(臨場感)을 가질 수 있도록 비디오(화상)와 오디오(음향)의 효과적인 연출과 장치에 각별히 신경을 써야 한다.

미국, 일본 등에서는 이 시스템이 상당히 보급되어 있다. 한국에서는 1984년 9월 정부 세종로청사와 정부 과천청사를 연결하는 화상회의시스템을 설치함으로써 이 정보통신체제가 실용화단계에 들어섰다. 이 시스템은 50인치 대형 스크린 2개와 2대의 TV 카메라, 음성과 영상을 신호로 바꾸는 비디오 코덱 등의 기재로 꾸몄으며, 전화회선 24개선이 사용되고 있다.

1990년도에 들어서는 ITU-T(국제전기통신연합 전기통신 표준화부문)에서 일련의 표준규격을 권고하고 있다. 근래에는 개인용 컴퓨터상에서 TV 회의 기능을 실현하는 제품이 등장하고 있다.

최근의 TV 회의는 개인용 컴퓨터에서 작성한 를 공유해 작업을 진행할 수 있는 기능이 추가되었다. 데이터 공유 기능으로는 쌍방의 모니터 화면에 전자게시판을 표시하는 화이트 보드 기능, 동일한 응용 를 공유해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등이 있다. 또한, 최근에는 을 이용한 TV 회의 시스템도 등장하고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