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언필

홍언필

[ 洪彦弼 ]

요약 조선 전기의 문신. 갑자사화(甲子士禍)로 유배되었다가 중종반정(中宗反正)으로 풀려나왔으나, 기묘사화(己卯士禍) 때 조광조 일파로 몰려 투옥되었다가 풀려났다. 대사헌을 여섯번 역임하고 우찬성(右贊成)이 되었다가 김안로의 모함으로 파직, 김안로 실각 후 우의정, 좌의정을 거쳐 영의정에 이르렀다.
홍언필선생 묘

홍언필선생 묘

출생-사망 1476 ~ 1549
본관 남양(南陽)
자미(子美)
묵재(默齋)
시호 문희(文僖)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묵재집》

본관 남양(南陽). 자 자미(子美). 호 묵재(默齋). 시호 문희(文僖). 사마시(司馬試)에 합격했으나 1504년(연산군 10) (甲子士禍)로 진도(珍島)에 유배되었다가 1506년 (中宗反正)으로 풀려나와 이듬해 중광문과에 을과로 급제하고 저작(著作) ·지평을 지냈다. 1519년 사가독서(賜暇讀書) 후 우승지(右承旨)가 되었으나, (己卯士禍) 때 조광조(趙光祖) 일파로 몰려 투옥되었다가 영의정 정광필(鄭光弼)의 변호로 풀려났고, 1526년 형조참판으로 성절사가 되어 명나라에 다녀왔다. 그 후 대사헌을 여섯번 역임하고 각조의 판서를 거쳐 1535년 우찬성(右贊成)이 되었다가 김안로(金安老)의 모함으로 파직되었다.

2년 뒤 김안로가 실각하자 호조판서에 복관되고, 우의정에 올라 좌의정을 거쳐 1544년 영의정에 이르렀다. 이 해 인종이 즉위하자 유관(柳灌) 등과 함께 원상(院相)이 되었다가 중추부영사(中樞府領事)로 전임하고, 1545년(명종 즉위) 위사(衛社)공신에 책록되고 익성(益城)부원군에 봉해졌다. 1548년 좌의정 ·영의정에 재임되고 궤장(几杖)을 하사받았다. 시서화(詩書畵)에 모두 능하고, 문집으로 《묵재집》이 있다. 인종의 묘정에 배향되었다. 평소 몸가짐이 검소하고 사치스러운 것을 멀리하였고 집안의 법도가 엄격하여 주변의 칭송이 높았다고 전한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