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성읍

홍성읍

[ Hongseong-eup , 洪城邑 ]

요약 충청남도 홍성군 중앙부에 있는 읍.
홍성읍

홍성읍

위치 충청남도 홍성군 중앙부
면적(㎢) 30.49
행정구분 42행정리(12법정리)
행정관청 소재지 충청남도 홍성군 홍성읍 아문길 31(오관리 113-25)
인구(명) 40,544(2006년)

동쪽으로 금마면(金馬面), 남동쪽으로 홍동면(洪東面), 남서쪽으로 구항면(龜項面), 북쪽으로 홍북면(洪北面)에 접한다. 북동부에 있는 홍성역 부근을 제외하고는 대부분의 지역이 일월산(日月山)·남산(南山) 등에 의해서 산악지대를 이룬다. 하천은 일월산에서 발원하는 월계천(月溪川)과 남산을 근원으로 하여 옥암리(玉岩里)로 흐르는 홍성천(洪城川)이 금마천(金馬川)에 합류하여 그 유역에 비옥한 평야를 이루고 북쪽으로 흐른다.

농경지는 논밭의 비율이 비슷하며, 쌀·보리 외에 사과·복숭아·포도 등의 과수재배가 활발하고 홍북면과 더불어 낙농업도 성하다. 장항선 철도가 통과하여 예산군·보령시·청양군·서산시 등을 연결하는 충남 중서부의 교통의 요지로 상업·서비스업 등이 발달하였으며, 황해의 어류 및 농산물의 집산지이다.

문화재로는 홍성 동문동 당간지주(東門洞幢竿支柱:보물 538), 홍주성(洪州城:사적 231), 홍주 의사총(義士塚:사적 431), 지승제조(紙繩製造:충남무형문화재 2), 홍주향교(洪州鄕校:충남기념물 135), 광경사지 삼층석탑(廣景寺址三層石塔:충남문화재자료 159), 대교리 석불입상(大橋里石佛立像:충남문화재자료 160), 광경사지 석불좌상(충남문화재자료 161), 홍가신청란비(洪可臣淸亂碑:충남문화재자료 165), 홍주성수성비(洪州城修城碑:충남문화재자료 166), 김좌진장군비(金佐鎭將軍碑:충남문화재자료 167), 안회당(安懷堂), 여하정(餘何亭), 조양문(朝陽門), 오관리(五官里) 고분, 금마총(金馬塚), 구백의총(九百義塚), 구백의총 사당, 신성리(新城里) 성터, 수성기적비(修城紀蹟碑) 등이 있다.

카테고리

  • > > >
  • > > >

관련동영상

홍성읍 충청남도 홍성군 중앙부에 있는 읍 조선시대 홍주목에 속하는 지역으로 관아와 홍주읍성이 있었다. 1914년 홍주면으로 개편되었다가 1941년 홍성읍으로 승격하였다. 현재 12개의 법정리를 관할한다. 홍성군의 중심을 이루는 곳으로 서쪽 백월산과 남쪽 남산이 있으며 홍성읍 내는 월계천과 홍성천이 합류하며 평지를 이룬다. 산업은 상업과 서비스업이 발달되어 있다. 교통은 장항선 홍성역이 있고 21, 29번 국도가 있어 보령과 예산을 연결한다. 청운대학교, 해전대학교가 있으며 문화재로는 홍주성, 홍주의사총, 홍주향교 등이 있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