홍릉

홍릉

[ 弘陵 ]

요약 조선 영조의 원비 정성왕후 서씨의 무덤.
홍릉

홍릉

지정종목 사적
지정일 1970년 5월 26일
소재지 경기 고양시 덕양구 용두동 475-92번지
시대 조선
종류/분류 왕실무덤

조선 제21대 왕 영조(英祖 재위 1724~1776)의 원비인 정성왕후(貞聖王后) 서씨(1692~1757)의 무덤이다. 5개의 조선 왕릉(경릉·창릉·명릉·익릉·홍릉)으로 이루어진 고양 서오릉에 속해 있다. 정성왕후는 1757년(영조 33) 2월 15일 창덕궁 관리각에서 숨을 거두었고, 그해 6월 4일 현 위치에 안장되었다.

영조는 정성왕후의 능지를 정하면서 장차 함께 묻히고자 왕비릉의 오른쪽 자리를 비워두었고, 석물도 쌍릉을 예상하여 배치하였다. 하지만 정조가 홍릉 자리를 버려두고 동구릉(東九陵) 내 원릉(元陵)으로 영조의 능지를 정함으로써 오른쪽 공간은 빈 터로 남게 되었다.

홍릉은 기본적으로 숙종의 명릉(明陵) 형식을 따라 간소하게 조성되었으며, <국조속오례의>와 <국조상례보편>의 제도가 잘 반영되어 있다. 3면의 낮은 담으로 둘러싸인 능에는 병풍석이 없고, 봉분은 12칸의 난간석에 에워싸여 있다. 혼유석 1좌, 망주석 1쌍, 석호(石虎)·석양(石羊) 각 2쌍, 문인석·석마(石馬) 각 1쌍, 장명등 1좌, 무인석·석마 각 1쌍의 석물을 갖추었다.

역참조항목

덕양구, 조선 왕릉

카테고리

  • > > >
  • > > >
  • > > >

관련동영상

홍릉 고양시 서오릉 내 조선 영조의 첫번째 왕비 정성왕후의 능 사적 경기도 고양시 서오릉 내에 있는 조선 영조의 첫번째 왕비 정성왕후 서씨의 단릉으로 "서쪽에 있는 5기의 왕릉"을 뜻하는 서오릉 경내에 위치한다. 숙종의 왕릉 능제 간소화 명이 내려진 후인 1757년 조성된 능이다. 영조는 사후에 왕비릉 옆에 묻힐 것을 예상하고 능의 석물도 쌍릉을 생각하며 배치하였으나 영조가 죽자 정조가 동구릉 내 원릉을 영조의 능지로 정하면서 왕비릉의 오른쪽 자리가 현재처럼 빈자리로 남게 되었다.  봉분 주변 3면은 곡장으로 둘렀으며 병풍석은 없이 12칸의 난간석이 에워싸고 있다. 봉분 주변에는 문인석, 무인석, 석마, 장명등, 혼유석, 망주석, 석양, 석호 등이 있으며 특히 무인석의 투구와 등부분에 장식이 많다. 출처: doopedia