호스트컴퓨터

호스트컴퓨터

[ host computer ]

요약 정보처리 시스템에서 중심적인 역할을 담당하는 범용컴퓨터.

중앙집중식 시스템에서 조직 전체의 자료처리 요구를 처리하는 중심역할을 하는 컴퓨터를 주(主)컴퓨터 또는 호스트 컴퓨터라고 한다. 에서는 호스트 컴퓨터의 역할을 분산되어 있는 여러 개의 컴퓨터에 자료처리를 분담시키기 때문에 호스트컴퓨터라는 말을 사용하지 않는다.

중앙집중식 정보처리 시스템이 출현하기 전까지는 자료를 분산 처리시스템 방식으로 처리하였다. 중앙집중식이란 각 사용자들 하나의 대형 컴퓨터에 접근하여 그 와 의 지원을 받는 처리방식을 의미한다. 이때 하나의 대형 컴퓨터가 바로 호스트컴퓨터에 해당된다.

정보처리의 태동기에는 컴퓨터 1대에 1개씩의 응용프로그램이 운용되고 있었으며, 업무량에 따라 사용자의 근무 지역에서 각각 독립적으로 운용되었다. 예를 들면 지사나 공장의 중소형 컴퓨터에 의하여 독립적으로 운영되며, 데이터의 통합이 필요할 경우에는 자기테이프와 같은 매체에 의하여 자료를 본사로 운송하여 처리하였다. 그러다가 고성능 컴퓨터의 출현과 정보통신 기술의 진보 등에 의하여 중앙집중식 처리방식으로 향하게 되었다.

중앙집중식 시스템은 처리능력에 알맞은 범용(대형) 컴퓨터 시스템을 중앙의 컴퓨터실에 설치하여 기업 내의 모든 부문의 정보처리 요구를 집중화해서 처리하는 형태를 취하고 있다. 이와 같은 시스템에서 호스트컴퓨터는 시분할처리·다중프로그래밍 등의 강력한 운영체제를 갖추고 있어야 하며, 수많은 단말기와 온라인을 통한 자료의 즉시 처리가 가능하도록 통신제어 시스템을 갖추어야 한다. 또한 모든 자료가 중앙에 집중되므로 대용량의 보조기억장치도 필요하였다.

그러나 호스트컴퓨터에 의한 중앙집중식 처리에는 숙련도가 높은 전문요원의 부족, 소프트웨어의 생산성 저하, 컴퓨터에 대한 부하의 집중, 호스트컴퓨터의 장애로 인한 업무중단, 새로운 정보기술 변경에 따른 일시적인 투자액의 과중, 에 의한 통신비용의 증가 등과 같은 문제점이 많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