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칭머신

티칭머신

[ teaching machine ]

요약 가르치는 기계 또는 학습하는 기계.

이 기계는 정보제시(情報提示) ·반응환기(反應喚起) ·되먹임(feedback) ·개인 페이스의 교수 등 4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는 점에서 종래 교육에서 사용해오던 기계 ·기구와 다르다. 예를 들면, 이나 영화는 정보제시의 기능은 있으나 다른 3가지 기능이 없기 때문에 교육에 이용되는 기계이기는 하지만 티칭머신이라 하지 않는다.

반대로 프로그램 텍스트와 같이 기계적 또는 전기적 장치가 없는 것일지라도 위의 4가지 기능을 가지고 있다면 티칭머신이라 할 수 있다. 티칭머신은 1924년 오하이오주립대학의 S.L.프레시에 의하여 ‘자기채점식 다지 선택장치’로 고안되었다. 이 기계는 본질적으로는 테스트 기계로서, 프레시는 교육계의 산업혁명을 꿈꾸었으나 일반의 관심을 끌지 못하였다. 그 후 1950년대에 와서 B.F.스키너가 프레시의 고안이 교육상 대단히 중요한 의의가 있음을 재발견하고 신행동주의(新行動主義) 심리학의 입장에서 티칭머신과 함께 그것을 사용하는 프로그램을 시작(試作)하고, 학습강화의 이론을 첨가함으로써 이 운동의 기초를 마련하였다.

최근에는 를 이용하여 학생의 반응의 질(質)이나 정오(正誤) 반응의 수(數) 등에 의하여 자동적으로 프로그램을 변경할 수 있는 고도로 순응적인 티칭머신이 제작되어, 시에이아이(Computer-Aided Instruction)의 연구도 활발히 행해지고 있다. 각 학생에게 완전한 개별지도를 행하기 위해서는 이러한 순응형(順應型)의 기계가 필요하다.

티칭머신에 의하여 지금까지의 교육의 여러 측면에 커다란 변혁이 일어날 것이 예측되며, 그 가운데 중요한 것은 교수 프로그램연구의 실증화(實證化), 일제지도(一齊指導)로부터 개별지도에의 이행(移行), 학교외 교육(off campus education)의 활성화 등이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