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정대부

통정대부

[ 通政大夫 ]

요약 조선시대의 관계(官階).

정3품의 상계(上階)이다. 1865년( 2)부터는 문관뿐만 아니라 (宗親)·(儀賓)의 품계로도 함께 사용하였다.

통정대부는 국가의 중요한 정책을 결정하는 데 참여하였으며 근무일수에 상관없이 능력에 따라 (加資) 또는 가계(加階)되었다. 관직에서 물러난 다음에도 (奉朝賀)가 되어 (祿俸)을 받는 등의 특권을 누렸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