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영군

통영군

[ 統營郡 ]

요약 경상남도 남해안 중앙부의 고성반도(固城半島) 남부 및 미륵도(彌勒島)·한산도(閑山島)와 그 밖의 여러 섬들로 구성되어 1994년까지 존속한 행정구역.

면적 212.61㎢. 본래 에 속한 곳으로 임진왜란 전에는 가배량수(加背梁戍)라 하였다. 임진왜란 때 부근의 당포(唐浦)·한산도에서 장군의 대첩이 있은 후 1593년(선조 26) 충청·전라·경상의 3도 통제사가 있을 영(營)을 한산도에 두면서 중요시되었는데, 그것이 군명(郡名)의 기원이다.

1895년(고종 32) 통영을 파하고 고성군에서 분리시켜 진남군(鎭南郡)을 설치하였다가, 1909년(융희 3) (龍南郡)으로 개칭하였으며, 1914년 을 합쳐 다시 통영군이라 불렀다. 1931년 통영면이 읍(邑)으로 승격하고, 1953년 거제군이 분리되었으며, 1955년 통영읍이 로 승격 분리되었다. 1995년 1월 관내 광도(光道)·도산(道山)·용남(龍南)·사량(蛇梁)·욕지(欲知)·산양(山陽)·한산(閑山)의 7개면이 충무시와 통합, 도농복합형(都農複合型)의 통합시로 개편되었다. 통합 당시 인구는 4만 6000명이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