통신판매

통신판매

[ mail order sales , 通信販賣 ]

요약 통신에 의해 주문을 받고 우송으로 주문상품을 인도하는 판매방법.

상품은 신문·잡지·라디오·텔레비전··정가표 등에 의해 광고·선전되며, 등에 의해 대금을 지급받는다. 우편주문 대신 전화주문에 의한 경우, 통신판매업자가 적당한 장소에 비치한 카탈로그를 검토하여 구두로 주문하는 일도 있다. 어떤 방법이든 통신판매의 특징은 카탈로그를 보고 상품을 선택하는 등, 상품의 실물은 전혀 보지 않은 채 성립되는 라는 점에 있다. 그 때문에 카탈로그의 상품설명내용이 소비자의 주목을 받을 만한 것이라야 한다는 것은 불가결의 조건이다.

통신판매업자에는 다방면의 상품을 다루는 종합점과 운동구·서적 등의 특정품만을 취급하는 전문점이 있으며, 부패의 염려가 있는 식료품 외에는 모두가 취급대상이 될 수 있으나, 표준화가 가능한 품목의 상품이 주종을 이루는 것은 판매의 성격상 부득이하다. 통신판매의 이점은 저렴한 점포유지관리비, 생산자로부터의 직접 구입, 고객으로부터의 현금선불에 의한 주문 등에 있다. 반면에 단점으로는 카탈로그와 실물의 상위(相違)에 의한 높은 반품률, 에누리가 없는 것, 카탈로그의 간행 인쇄·배포나 광고선전에 많은 비용이 소요된다는 점 등을 들 수 있다.

통신판매는 광대한 국토, 발달된 우편제도, 표준화된 생산·소비 등의 조건을 갖춘 미국에서 먼저 발달하였으며 교통의 발달은 그 필요성을 저하시키고 있다. ·출판사· 업자·레코드회사 및 텔레비전 방송국 등도 통신판매에 힘을 쏟고 있다. 한국에서도 근래에는 농·수산물 통신판매제도까지 이루어지고 있으며, 1993년 12월부터는 아시아나 항공과 신세계 백화점과의 협약에 의해 스카이(항공)통신판매 제도가 실시되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