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총

토총

[ 土塚 ]

요약 돌 또는 흙으로 만든 무덤칸을 봉토(封土)로 덮은 무덤.

일반적으로 고분(古墳)은 크게 [石塚]과 토총(土塚)의 둘로 갈라지며, 토총은 다시 내부 시설에 따라 돌널무덤 ·돌덧널무덤 ·움무덤 ·독무덤 등으로 구분된다. 토총이라는 말은 문자 그대로 흙으로 만든 무덤을 말하는 것으로 무덤의 발생적인 측면에서 원초적 분묘를 비롯하여 대부분의 고분은 토총이라고 할 수 있다. 또한 《(說文解字)》에 ‘총(塚)이라는 것은 고분(高墳)’으로서 봉토(封土)하여 구릉을 이룬 것을 가리킨다고 하였으므로, 토총은 기본적으로 ‘흙으로 봉토를 한 무덤’이라고 정의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용어로 봉토무덤[封土墳]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런데 남한학계에서 처음 토총이라는 개념을 사용할 때에는 시대를 초월하여 쓰이던 봉토무덤의 개념보다는 고구려 무덤양식을 설명하는 개념으로서 적용되었다. 즉 고구려에서는 4세기 후반이 되면 돌무덤[石塚]의 수가 줄어드는 대신 봉토를 한 무덤이 조영되기 시작하고, 5세기 초에 이르면 본격적인 축조가 이루어지기 시작하는데, 이러한 돌무덤에 대신하여 나중에 등장하는 봉토를 한 무덤을 토총이라는 용어로 정의하였던 것이다. 이 무덤양식은 고구려의 지배층이 수도를 평양으로 옮기면서 새로운 묘제를 채용한 것으로 중국에서 배워온 외래적인 요소라는 것이었다. 이러한 견해는 현재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다.

그러나 최근에 와서는 토총을 고구려무덤에만 국한시키지 않고 일반적인 의미로서 흙으로 봉토를 씌운 무덤 전반을 가리키는 개념으로 사용하고 있다. 토총은 북한학계에서 사용하는 ‘돌간흙무덤’과 같은 개념으로서, 고대의 기본 묘제(墓制)이며 한국 전지역에 분포하고 있고 규모는 작지만 현대에 이르기까지 면면히 계속되어 오고 있다는 것이다. 특히 토총이 쓰여진 전기간 중 가장 두드러진 토총은 삼국시대에 조영된 고총고분(高塚古墳)들로서 지배자들의 무덤이라는 것이다. 여기에는 외형에 따라 구분한 원형봉토분(圓形封土墳) ·표형분(瓢形墳 ·쌍분) ·방대형봉토분(方臺形封土墳) 등이 있다. 그리고 매장시설의 형식에 의하여 시대별로 구분하면, 고구려는 굴식돌방무덤[竪穴式石室墓] ·돌덧널무덤[石槨墓] ·움무덤[土壙墓] ·독무덤[甕棺墓], 신라는 돌무지덧널무덤[積石木槨墳] ·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구덩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橫穴式石室墓], 그리고 가야에는 널무덤[木棺墓 ·木槨墓] ·돌널무덤[石棺墓] ·돌덧널무덤 ·굴식돌방무덤 ·구덩식돌방무덤 ·앞트기식돌방무덤 등의 토총을 채택 조영하였다는 것이다.

대체로 봉토무덤으로 정의되는 토총은 2세기 말부터 3세기 전반에 걸쳐 중국의 영향을 받아 고구려의 토총부터 형성되기 시작하였으며, 점차 백제 ·신라 ·가야 등지에 영향을 주었을 것으로 보는 것이 통설이다. 또한 돌무덤과 토총 사이의 시대적 차이를 인정하지 않는 설도 있기는 하지만 대체로 돌무덤이 선행한 묘제이며 장군총(將軍塚)과 같은 돌무덤의 전통을 계승하여 발전된 것이 토총이라는 결론이 지배적이다. 이상에서 보면 토총을 고구려시기에만 한정된 분묘양식으로 보는 것은 그 본래 용어개념상 문제가 있는 것 같다. 그러나 토총을 전 시기에 걸쳐 조영된 봉토무덤양식으로 볼 경우에도 고구려의 토총과 구별하여 명확한 개념규정이 요구되고 있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