토리당

토리당

[ Tory Party ]

요약 영국의 정당.
구분 정당
설립일 1679년
설립목적 왕권옹호와 지주중심의 정치
주요활동/업무 휘그당에 협조
소재지 영국

1679년 왕제(王弟) 요크공(公:후의 )에 대한 왕위배제법안을 놓고 의회 내에 찬성파와 반대파가 대립하였는데, 제임스의 즉위를 인정하는 의원들을 반대파 의원들이 ‘토리’라고 불렀다. 본래 아일랜드에서 유적(流賊)을 뜻하던 말인데, 경멸하는 뜻으로 그렇게 불렀다. 왕권옹호파의 귀족이나 지주를 중심으로 하여 국교 옹호와 비국교도 배척의 입장을 취하였으나, 공통된 정치강령이나 기본정책을 가지고 뭉쳐 있는 것이 아니므로, 그런 의미에서 정당이라고 하기보다는 정치 그룹에 불과하였다.

명예혁명 때는 휘그당에 협력하였으며, 그 후로는 별 활동이 없었다. 특히 하노버 왕조 성립 후의 약 50년 간은 명맥만 유지할 정도로 약화되어 휘그당의 천하가 계속되었다.

그 후 조지 3세의 어용 정당으로서 소생하여 18세기 말부터 소(小)피트의 지도하에 체질을 개선하면서 프랑스혁명에 대한 공포, 등에 의한 보수적 풍조에 힘입어 1830년까지 약 50년 간 정권을 잡았다. 그러나 의 진전에 따라 중산층시민이나 노동자의 수가 늘어나 자유주의적 분위기가 고조됨에 따라 여론과 당내 자유파로부터 비판을 받고 동요되었으나, 얼마 후 R.필의 지도하에 보수당이 되었고, 근대정당으로 탈피하였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