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정

탄정

[ 呑亭 ]

요약 조선시대 환곡(還穀)제도의 시행과정에서 자행된 관원들의 부정행위.

(丁若鏞)의 《(牧民心書)》에 의하면 '탄'은 먹는다는 뜻이고 '정'은 면세조치(免稅措置)를 말하는 것인데, 흉년이 들면 지방별로 그 피해 정도를 조사하여 정부에서 의 수량을 감해 주는 것이 원칙이었다.

이를 기회로 부패한 관원들은 이것을 미리 짐작하고 감량지시가 내리기 전에 백성들에게 환곡을 독촉하여 전량을 징수해 놓고 감량지시가 내리면 그 수량을 횡령·착복하여 백성들에게는 그 혜택이 돌아가지 못하였다.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