탄산염

탄산염

[ carbonate , 炭酸鹽 ]

요약 탄산의 수소가 금속으로 치환된 염이다. 이산화탄소와 금속산화물 또는 수산화물로 구성되는 화합물이다. 보통 금속산화물이나 수산화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면 생성되며 정염(正鹽:탄산염), 산성염(탄산수소염), 염기성염의 3종이 있다.
탄산염

탄산염

일반적으로 금속산화물이나 수산화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이산화탄소를 흡수시키면 생긴다. 착색(着色)의 원인이 되는 양이온을 함유하지 않으면 무색이다. 이온 CO32-을 함유하는 이온 결정이며, 의 염에서는 리튬염 이외는 정염·탄산수소염 모두 물에 잘 녹는다. 이밖의 금속염에서는 탄산수소염·염기성염은 물에 잘 녹지만, 정염은 거의 녹지 않는다. 물에 녹은 알칼리금속의 정염은 하여 강한 알칼리성을 보인다.

Na2CO3+H2O ↔ NaOH+NaHCO3

고체를 가열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정염은 산화물로, 탄산수소염은 정염이 된다. 다만, 알칼리금속의 염에서는 분해하지 않고 융해한다. 정염이나 탄산수소염의 고체 또는 수용액에 산을 가하면 분해하여 이산화탄소를 발생하고, 그 산의 염을 생성한다. 탄산이온은 탄소원자를 중심으로 하여 산소원자가 구석을 차지하는 평면 정삼각형의 구조를 하고 있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