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샘염색체

침샘염색체

[ salivary chromosome ]

요약 1923년 페인터가 초파리에서 발견한 일반 염색체보다 100~200배 큰 염색체. 쌍시류 유충의 침샘 혹은 초파리의 정모에 있는 세포핵에서 볼 수 있다.  
침샘염색체

침샘염색체

초파리나 모기등의 쌍시류(雙翅類) 유충의 에 있는 에서 볼 수 있는 염색체로서 보통염색체보다 100~200배 이상이나 크기 때문에 거대염색체라고 한다. 침샘은 한 층의 거대한 세포층으로 싸이고, 핵은 의 100배나 된다. 핵 속에는 염색체가 2개씩 쌍으로 붙어 있어서 길쭉하고 거대하며, 그 수는 체세포 염색체수의 반수로 되어 있다.

는 세포가 핵분열하지 않고 휴지기에 들어서면서 핵 내부에서 염색체복제과정만 되풀이되며 만들어진다. 그 과정에서 다른 여러 가닥의 염색사가 서로 이어진 15∼25㎛, 길이 100∼300㎛의 큰 염색체가 된다. 이러한 침샘염색체에서는 다수의 밴드(가로줄)를 볼 수 있다.

가로줄은 (DNA)가 있는 위치를 나타내며 밴드의 개수를 세면 염색체상에 있는 유전자의 수를 알 수 있다. 밴드의 생성에 관해서는 보통의 염색체의 나선사(螺旋絲)가 거대하게 나선화하여 끊어져 가로줄을 만들고 있다는 설과, 나선사가 세로로 2n회 분열하여 많은 실이 되고 같은 유전자가 있다는 설이 있으며, 후자의 경우를 폴리텐(多絲)염색체라고도 한다. 가로줄 부분은 DNA를 합성하며 침샘염색체의 군데군데의 팽대부(버프)는 RNA 합성의 장소로 알려져 있다.

 이미 초파리에서 염색체 지도가 만들어져 있으며 염색체의 구조가 똑똑히 보이기 때문에 염색체 지도를 만들거나, 개개 염색체의 식별을 하는 등의 유전정보 연구에 널리 사용된다.

침샘염색체 본문 이미지 1 
염색체애벌레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