콘래드불연속면

콘래드불연속면

[ Conrad discontinuity , ─不連續面 ]

요약 지각에 존재하는 지진학적인 불연속면으로서, 1925년 콘래드가 발견하였다. 이 면을 경계로 상부는 화강암질층, 하부는 현무암질층으로 나뉜다. 화강암질층이 있는 대륙지각에만 존재하며 약 15~25㎞깊이에 존재한다.

1925년 의 자 콘래드에 의하여 발견되었다. 은 지진학적으로는 크게 두 부분으로 나눌 수 있다. 상부는 질층이고, 하층은 질층이다. 이 두 층 사이의 경계면이 콘래드불연속면이며, 대륙에서는 지표에서 15∼25km되는 곳에 있다. 해양지각은 화강암질층이 없으므로 콘래드불연속면이 존재하지 않는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