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례교

침례교

[ Baptists , 浸禮敎 ]

요약 자각적인 신앙고백에 기초한 침례를 시행하는 그리스도교 프로테스탄트의 한 교파.
세계 침례교 대회

세계 침례교 대회

신약성서의 내용에 따라 신앙 고백을 한 사람들에게만 세례를 베풀어야 한다고 믿으며 이 때문에 를 인정하지 않는다. 성서원리(聖書原理), 침례, 만인사제(萬人司祭), 각 교회의 독립, 교회와 국가의 분리 등을 강조한다. 영국의 청교도(퓨리턴)의 여러 파 가운데 하나로 생겨났으며, 창시자는 J.스미스(1554?∼1612)이다. 그는 교직자로 1608년 국교회의 압박을 피하여 동지들과 함께 의 으로 망명했는데, 그 중 T.헬위스와 몇몇 동지들이 영국으로 돌아가 1612년 침례교회를 창설하였다. 아르미니위스파(派)의 입장을 취한 일반침례파와 칼뱅적 입장에 선 특수침례파의 구별이 있다. 영국에 이어 미국에서도 크게 퍼져서, 현재 미국 최대의 교파를 이루고, 대소 27개의 그룹으로 형성되어 있다.

한국에는 1889년 12월 8일 캐나다의 펜위크(Malcolm C. Fenwick) 선교사가 입국하여 함남 원산(元山)에서 선교사업을 시작하였다. 하지만 그는 신학공부를 하지 않은 평신도였기 때문에 선교사업에 한계를 느끼고 다시 미국으로 건너가 보스턴에서 선교사 수업을 받은 후 1896년 한국으로 돌아왔다. 한국 순회 선교회를 설립하였고 원산에서는 성경학원을 세웠다. 이후 충청남도 공주와 칠산, 강경에 침례교회가 건립되었다. 1906년 대한기독교회가 창립되었다가 1918년에 해체되었다. 1921년 동아기독교회로 다시 조직되었으며 일제하의 조선총독부의 탄압을 받았다. 1944년 일제에 의해 종단 해체령이 내려졌다. 1951년 미국에서 선교사와 선교사업 지원을 받았으며 '대한기독교침례회연맹'으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59년 한국 총회와 미국 남침례회 선교회의 갈등으로 교단이 분열되어 '대한기독교침례연맹(포항 지역)'과  '기독교대한침례회연맹(대전 지역)'의 두 그룹으로 분리되었다.

두 그룹은 1968년 '한국침례회연맹'으로 통합하였고, 1969년 재단법인 기독교대한침례회연맹 유지재단을 형성하기에 이르렀다. 1976년 '기독교한국침례회'로 명칭을 변경하였다. 1999년 침례교회 110주년 행사가 잠실 올림픽 경기장에서 개최되었다. 서울시 구로구 오류동에 기독교한국침례회총회가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