침구

침구

[ 寢具 ]

요약 잠잘 때 필요한 물건.
라텍스베게

라텍스베게

이불과 요와 베개가 있는데, 이불과 요를 금(衾)이라 하고 베개를 침(枕)이라 하여 금침(衾枕)이라고도 한다.

⑴ 이불:잘 때 몸을 덮기 위하여 피륙과 솜 등으로 만든 이부자리로, 핫이불 ·차렵이불 ·처네 ·이불 ·겹이불 ·홑이불 등이 있다.

① 핫이불:솜을 두어서 만든 솜이불을 말하며, 주로 겨울용으로 비단에서 무명에 이르기까지 여러 가지 감으로 만든다. 재래식에 의하면, 겉을 남자는 흔히 남색 또는 자주색으로 하고 홍색 깃에 흰색 을 달았으며, 여자는 연두색에다 홍색깃과 흰색 동정을 달았다. 그리고 치수는 나비가 70∼73 cm의 비단폭 3폭이고, 길이는 50 cm 자로 3자 반∼4자로 하였으며, 깃은 3폭 나비를 가로지로 하여 반 폭 길이였고, 동정은 깃과 같이 3폭 나비를 가로지로 하되 길이는 20 cm로 하여 깃보다는 좀 좁게 하였다. 그런데 근래에는 폭을 2폭으로 하고, 양 옆으로 1/4폭씩, 즉 양쪽 반 폭을 안을 거죽으로 넘기어 2폭 반 정도로 하였다. 그리고 안에 홑이불을 받쳐 꿰매면 겉의 양 옆과 동정은 보이지 않았다.

② 차렵이불:차렵으로 된 이불을 말하며, 차렵이란 솜을 얇게 두는 방식을 말한다. 따라서 크기는 핫이불 정도이나 솜을 얇게 두어 봄 ·가을에 사용하였는데, 감도 이에 맞게 숙고사 ·숙인 ·숙수 등의 얇은 감에 다소 엷은 빛깔의 것으로 하였다.

③ 처네:보통 이불 크기보다는 좀 작고, 안팎 거죽 양쪽으로 쓸 수 있도록 감을 각색으로 하였으며, 솜도 차렵이불에서와 같이 얇게 두었다. 그러므로 이것은 이불 속에 안이불로 쓰기도 하고, 낮잠 자는 데 가볍게 쓰기도 하였으며, 더욱 작게 만들어 어린아이를 업을 때 두르기도 하였는데, 주로 명주에 물을 들여 사용하였다.

④ 누비이불:누벼서 만든 이불을 말하며, 핫이불보다는 약간 작은 치수로 하여 부드러운 비단 ·명주 또는 부드럽고 얇은 무명으로 만들고, 깃 ·동정도 달아 누빈 것이었는데, 차렵이불을 덮을 무렵부터 늦봄까지 사용하였다.

⑤ 겹이불:안에 솜을 두지 않고 겹으로 꾸민 이불로서 여름용이며, 흔히 생사 또는 에 물을 들여 만들었는데, 빛깔은 옥색 ·분홍색 ·연두색 등으로 하고, 구조는 보통 이불과 같았다.

⑥ 홑이불:안을 두지 않은 겹으로 된 이불로서 여름용이며, 고운 베로 만든다. 최근에는 겹이불 대신 홑이불을 사용하기도 한다.

⑵ 요(褥):사람이 누울 때 배기지 않도록 방바닥에 까는 침구이다. 요는 속에 솜을 넣고는 비단으로 요 뒤를 대고 요 위를 시친다. 크기는 180∼230 cm 길이에 70∼80 cm 나비가 표준이다. 그런데 대체로 여름에는 요 위에 돗자리를 깔거나 베로 요홑이불을 시쳐서 더위를 막고, 겨울에는 무명으로 요홑이불을 시쳐서 쓴다. 이 밖에도 모직담요 ·혼방담요 ·밍크이불 등이 다양하게 만들어져 일상용 ·혼수용 등으로 다양하게 쓰인다.

⑶ 베개:누울 때 머리에 베는 기구이다. 베개는 중간에 창구멍이 있어 그 곳을 통하여 속을 넣게 되어 있는데, 어린아이용은 좁쌀 ·수수쌀 같은 곡물을 넣고, 어른용은 메밀깍지 ·왕겨 · 등을 넣어서 사용한다. 베개의 길이는 20∼30 cm이나, 부부용인 경우는 2사람이 벨 수 있도록 50 cm 가량 길게 만들기도 한다. 베개는 만든 재료 ·용도 ·모양에 따라 여러 가지 이름이 있다. 둥글거나 네모진 나무를 20 cm쯤 잘라서 베는 목침, 나비 10 cm쯤 되는 나무쪽으로 네모지게 짜서 베는 퇴침, 여름에 대나무로 만든 죽침 ·양침, 부녀자가 내방에서 베는 여섯골진 골침[陵枕], 출가시에 만들어 가지고 가는 구봉침 ·원앙침 ·잣베개가 있다. 이 밖에도 쌍침 ·사방침 ·장침 등이 있다. 베개는 양쪽 마구리에 수를 놓는 것을 원칙으로 하는데, 이를 수침이라고도 하며, 남자용은 네모지게, 여자용은 둥글게 수를 놓았다. 수에는 화수(畵繡)와 서수(書繡)가 있으며, 그 문양은 길상문을 나타냈다. 현대는 서양식을 도입한 개량베개가 주로 사용되는데, 베갯속으로 메밀깍지나 짚 대신 나 닭털 등을 넣어서 만들고, 길이는 35∼45 cm, 나비는 25∼30 cm이며, 직사각형 모양이다.

참조항목

, ,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