칠재

칠재

[ 七齋 ]

요약 고려시대 국자감(國子監)에 설치한 7개의 전문강좌.

1109년( 4) 사학(私學)에 뒤진 국학의 진흥을 위해 설치하였다. 《(周易)》을 전문적으로 가르치던 여택재(麗澤齋), 《(尙書)》를 강의하던 대빙재(待聘齋), 《모시(毛詩)》의 경덕재(經德齋), 《주례(周禮)》의 구인재(求仁齋), 《대례(戴禮:禮記)》의 복응재(服應齋), 《춘추(春秋)》의 양정재(養正齋) 등 6재와 병학(兵學)을 강의하던 강예재(講藝齋)를 7재라 하였다.

이 가운데 앞의 6재를 유학재(儒學齋), 병학의 강예재를 무학재(武學齋)라고도 하여 문 ·무 양학으로 구분하였으나, 유학재의 학생수는 60~70명이었던 것에 반하여, 무학재는 8~17명에 불과하였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