취관분석

취관분석

[ blowpipe analysis , 吹管分析 ]

요약 취관을 이용한 정성분석법으로, 광물의 화학성분의 간이검출법으로 널리 사용되어 왔는데, 현재는 주로 광물조성 결정의 예비실험으로 사용된다.

회분이 적은 조밀한 목탄(소나무· 등)을 모난 각기둥 모양으로 깎아 표면을 매끄럽게 하고 작은 구멍을 뚫어 가루 시료를 채우고(탄산나트륨무수물을 섞는 일도 있다), 여기에 취관으로 산화불꽃을 불어넣음으로써 생기는 변화를 보고 판단한다. 취관은 금속성의 가는 관으로 끝으로 갈수록 가늘게 되어 있고, 다른 끝에서 입을 대고 알코올램프·촛불 등의 불꽃에 대고 불면 불꽃이 옆으로 불려 길쭉한 모양이 된다.

불꽃이 닿은 시료는 작열(灼熱)하여 빛깔이 있는 기체가 발생하고 구멍 위쪽의 목탄 표면에 금속(鑛衣)이 승화하는 현상을 볼 수 있고, 그것에 의하여 성분의 금속원소를 판단한다. 예를 들면, 금·은·구리 등은 광의가 생기지 않고 괴상의 금속(금에서는 노란색, 은에서는 흰색, 구리에서는 붉은색)이 생기고, 철·코발트 등에서는 마찬가지로 광의가 생기지 않고 검은색 금속가루가 생기며, 주석·납· 등에서는 흰색 광의가 생긴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