충수염

충수염

[ appendicitis , 蟲垂炎 ]

요약 맹장(막창자) 선단에 붙은 충수에 일어나는 염증.
광학 망원경으로 본 만성 충수염

광학 망원경으로 본 만성 충수염

흔히 맹장염이라고 하지만 의학적으로는 충수염이 바른 말이다. 원인은 어떤 조건 아래서 장내의 세균이 충수점막에 염증을 일으키게 한다는 장내감염설, 인두염이나 폐렴 등을 앓을 때 세균이 혈액 속으로 들어가 충수에 정착함으로써 염증을 일으킨다는 혈행감염설, 그 밖에 설 등이 있으나 결정적인 원인은 아니다. 유인(誘因)으로는 폭음·폭식·감기·위장염 및 변비, 과로 등에 의한 체력의 소모, 충수가 정상보다 길어서 내용물이 정체되기 쉽거나 유착, 굴곡, 분석(糞石)의 존재, 회충이 미입(迷入)한 경우 등이 알려져 있다.

소년·청년기에 많고, 갓난아기나 노인에게는 적다. 계절적으로는 봄 ·여름에 많으며, 육식을 즐기는 사람에게 많다고 한다. 증세로는 복통·체온상승·맥박증가·장기능이상·백혈구증가 등을 볼 수가 있다. 복통은 처음에 심와부(心窩部:명치)·위부(胃部)에 일어나는 일이 많고, 점차 우하복부·회맹부(回盲部)로 이동하여 제한된다. 이 무렵에 회맹부를 손으로 누르면 강한 통증이 있다. 더욱 진행되면 천공구멍이나 충수 인접부에 제한성 이 일어나고, 마침내는 복강 내 전체에 확산되는 복막염을 일으킨다. 치료는 조기진단과 조기수술(발병 후 48시간 이내)이 바람직하다.

여러 가지 조건으로 수술을 할 수 없을 경우에는 의사의 지시에 따라 조기에 국소에 냉찜질을 하고, 강력한 화학요법을 쓴다. 그리고 흔히 말하는 만성맹장은 회맹부의 통증을 통칭해서 말하는 경우가 많고, 충수염과는 관계가 없다. 통증도 비교적 단시간이고, 동시에 간헐적이며, 충수염에서 볼 수 있는 다른 증세는 나타나지 않는 경우가 많다. 이들 통증은 장내용물이 (回腸)으로부터 맹장, 즉 의 기시부(起始部)로 이동할 때 원활히 이루어지지 못하면 일어나는 경우가 많다.

참조항목

, , , ,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