춤사위

춤사위

요약 한국 춤동작의 기본 단위.

춤사위는 춤과 춤의 사이를 뜻하는 춤사이, 또는 춤동작이라는 뜻의 춤사우가 변하여 된 말이라는 설이 있으나, 이 말들은 되어 올 뿐 기록으로 전해지는 것은 없다. 춤사위라는 말은 보편적으로 춤동작을 말할 때 쓰인다. 의 춤사위는 한자로 기록되어 있으나 민속무용의 춤사위는 구전되어 오던 것을 1970년대에 이르러서야 기록으로 남기기 시작하였다. 춤사위는 궁중무용 ·불교의식무용과 농악무용의 일부 및 해서지방의 탈춤, 경기지방의 탈춤 등과 같이 춤사위가 일정하게 고정되어 있는 것과, · ·와 농악무용의 일부 및 탈춤의 일부 등과 같이 춤사위가 기본동작은 있으나 즉흥적으로 그때 그때 생성되는 것으로 크게 나뉜다.

이와 같이 한국의 춤사위가 획일적인 것과 다양하고 자유로운 것의 2원적 요소를 갖춘 것은, 첫째는 춤가락에서 영향받은 것이며, 그 밖에 지역적 특징과 춤추는 목적에 따른 것이다. 또, 춤사위는 사람들의 기질이나 미의식의 차이에서도 춤동작을 달리하며, 지역에 따라서도 형(型)을 달리한다. 기질이나 미의식에 바탕을 두는 춤사위는 주술적인 춤, 노동의 춤, 동물의 춤, 자연모방의 춤, 풍자적인 춤, 전투적인 춤, 무술적인 춤 등에서 형태를 찾아볼 수 있다. 지역에 따라서는 활달하고 쾌활한 북부지방의 춤, 섬세하고 아기자기한 중부지방의 춤, 중후하고 남성적인 남부지방의 춤, 그리고 유연하고 풍류적인 멋을 풍기는 호남지방의 춤 등에서 춤사위의 형을 찾아볼 수 있다. 특히 한국춤의 기본동작, 즉 춤사위는 정중동(靜中動)의 요소가 맥을 이루는 가운데 흥과 신바람으로 동작이 분할 ·대립 ·연속 ·증가 ·병렬 등의 형태를 보이며, 이것이 하나의 커다란 결합현상을 나타내기도 하고, 주기적으로 반복현상을 나타내기도 하며, 결합된 춤사위가 풀어져 새로운 즉흥적(卽興的) 현상을 나타내기도 한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