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성집

청성집

[ 靑城集 ]

요약 조선 후기의 학자 성대중(成大中:1732∼1812)의 시문집.
구분 목활자본, 시문집
저자 성대중
시대 조선 후기

목활자본. 10권 5책. 간행연대 미상. 아들 해응(海應)이 편찬하였으나 손자 헌증(憲曾)이 간행하였고, 책머리에 있는 서문에서 (趙寅永)은 그 학문의 순정(醇正)함을 극찬하였다. 권1∼4는 시 532수, 권5는 서(書) 29편, 권6은 서(序) 10편, 기(記) 19편, 권7은 기(記) 19편, 전(傳) 3편, 권8은 논(論) 5편, 설(說) 3편, 제발(題跋) 29편, 권9는 행장(行狀) 4편, 묘지명 10편, 비명(碑銘) 3편, 제문 3편, 권10은 애사(哀辭) 19편 등으로 구성되었다.

성대중은 문장론에서 육경(六經)을 중시하고 패관잡기의 문체를 비판하여 정조로부터 문예부흥에 기여한 공로를 인정받았으며, 그의 학문은 아들인 에게 전해졌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