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사집

청사집

[ 晴沙集 ]

요약 조선 중기의 학자 ·의병장 고용후(高用厚:호 청사)의 시문집.
구분 목판본, 시문집
저자 고용후(高用厚)
시대 조선 중기(1680년)

목판본. 2권 1책. 도서. 1680년(숙종 6)에 편집, 간행되었으며, 권두에 명(明)나라 사람 (徐光啓)의 <고사군시서(高使君詩序)>와 (金壽恒)의 서문이 있다. 시 ·제문(祭文) ·행장(行狀) ·소(疏) ·전(箋) ·장(狀) ·서(書) ·서(序) ·교서(敎書) ·전(傳) 등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의병장 (高敬命)의 아들로, 임진왜란 때 의병으로 활약하였기 때문에, 이 책에는 임진왜란 관련 기록들이 많다. 제문은 임진왜란과 관련한 인물에 대한 것들인데, <몽선대부설(夢先大夫說)>에는 선친 고경명을 추도하는 내용을 담고 있다.

서(12편) 중 통제사 이영(李英)에게 올린 <교통제사 이영서(敎統制使李英書)>에서는 변방지역 방어와 수군의 중요성을 강조하고 있으며, <정등주군문장(呈登州軍門狀)> <상장도독신설재서(上張都督駪雪齋書)> 등에는 명(明)나라에 원조를 요청한 내용이 있다. 이 외에 호남 출신 학자 (奇大升)을 배향한 서원의 사액(賜額)을 청한 소와 계(契)의 중요성을 쓴 <계회서문(契會敍文)> 등이 주목된다. 임진왜란 연구에도 도움이 되는 자료로, 《한국문집총간》에 영인본(影印本)이 있다.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