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마총 자루솥

천마총 자루솥

[ Three-legged Cauldron with a Handle from Cheonmachong Tomb , 天馬塚 鐎斗 ]

요약 경주 천마총(天馬塚)에서 출토된 신라시대의 초두.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천마총 자루솥

천마총 자루솥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78년 12월 7일
소장 국립경주박물관
소재지 경상북도 경주시 일정로 186, 국립경주박물관 (인왕동,국립경주박물관)
시대 신라시대(5∼6세기)
종류/분류 유물 / 생활공예 / 금속공예 / 청동용구
크기 입지름 11.6cm, 몸통지름 18.2cm, 뚜껑 높이 5.8cm, 자루 부분 길이 13cm

1978년 12월 7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국립경주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다. 입지름은[口徑] 11.6cm, 몸통지름은[胴徑] 18.2cm, 뚜껑 높이는 5.8cm, 자루 부분 길이는 13cm, 공구단면은(銎口斷面) 2.1cm ×1.9cm이다.

발 3개가 달려 있는 편구형(扁球形)의 몸통 한쪽에 양(羊)머리 모양의 귀때[注口]가 있고, 그와 직각되는 곳에 속이 빈 4각의 손잡이가 달려 있다. 3개의 발은 수각형(獸脚形)이며 몸통 중앙에는 한 줄의 돋을무늬[突帶文]를 둘렀고, 뚜껑 둘레에는 3줄로 구성된 꼰무늬[繩文]로 돋을무늬[繩文突帶文]를 나타내었으며, 뚜껑 꼭대기에 보주형의 꼭지를 두었다. 뚜껑 은 여닫을 수 있게 되었으나 현재는 녹슬어 밀착되어 있기 때문에 열어볼 수 없다.

중국 육조(六朝)시대 고분에서 출토된 유물들에서 볼 수 있는 특징을 지니고 있으며, 최근 강원 원주 지방에서 발견된 백제 초기 분묘에서 출토된 청자양형수주(靑瓷羊形水注)와 매우 흡사하다.

참조항목

경주시, 천마총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