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체관측

천체관측

[ astronomical observation , 天體觀測 ]

요약 지구의 대기권 밖에 있는 물체의 위치와 운동, 방사선의 세기와 그 변화, 표면상태나 질량 등을 관찰 ·측정하는 일을 말하며 실시관측, 천체사진의에 의한 사진관측, 스펙트럼관측, 전파관측 등이 있다.

측정수단의 차이에 따라 육안이나 망원경을 사용하는 실시관측(實視觀測), 천체사진의에 의한 사진관측, 망원경에 분광기(分光器)를 부착해서 빛을 파장별로 나누어 측정하는 스펙트럼관측, 전파망원경에 의한 전파관측, 로켓 또는 기구(氣球)에 측정기를 적재하여 측정하는 천체 · · 관측 등으로 구별된다.

초기의 천체관측은 육안이나 작은 망원경을 사용했으나, 망원경은 점차 대형화하고 정밀도가 증대되었으며, 관측수단도 실시관측뿐만 아니라 사진이나 광전관측(光電觀測)이 채용되고, 관측하는 파장역(波長域)도 뿐만 아니라 자외선 ·적외선으로부터 전파 ·X선에까지 넓혀졌다. 관측기기(觀測器機)에도 자동장치가 채택되며, 무인조종의 망원경이나 기구 ·로켓 ·인공위성에 의한 관측까지도 할 수 있게 되고, 앞으로는 월면(月面)에 천문대를 설치하는 일도 계획되고 있다.

이러한 관측결과의 해석연구에서 태양계나 은하계 내의 별의 분포 ·운동이나 물리적 ·화학적 성질이 알려지고, 한편으로는 달력의 편찬이나 보시(報時) ·측량 등의 실용적인 방면의 이용과, 다른 한편으로는 항성의 내부조성이나 물질의 궁극적인 성질 ·변화 등 항성의 진화나 우주의 구조와 변전(變轉)에 관한 연구자료를 얻을 수가 있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