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 Hanging Scroll Behind the Amitabha Buddha in Geungnakjeon Hall of Cheoneunsa Temple , 泉隱寺 極樂殿 阿彌陀後佛幀畵 ]

요약 천은사 극락전의 아미타불화. 1987년 7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천은사 극락전 아미타후불탱화

지정종목 보물
지정일 1987년 7월 16일
소재지 전라남도 구례군 광의면 노고단로 209, 천은사 (방광리)
시대 조선 영조 52년(1776)
종류/분류 유물 / 불교회화 / 탱화 / 불도
크기 가로 2.27m, 세로 3.6m

1987년 7월 16일 보물로 지정되었다. 견본착색(絹本着色)으로 크기는 277×360cm이다. 1776년(영조 52)에 제작되어, 전라남도 구례군 천은사에 소장되어 있다.

조선시대 아미타후불탱화의 구도(構圖)를 보면 다음과 같은 몇 가지 유형을 살필 수 있다. ① 아미타불과 그 좌우보처(左右補處)인 관세음보살(觀世音菩薩)·대세지보살(大勢至菩薩)만을 그리는 경우, ② 주불인 아미타불과 좌우보처인 관음·세지 이외에 2보살 ·6보살 등의 여러 보살상과 4천왕(四天王), 청문중(聽聞衆)을 그리는 경우, ③ 위 ②의 양식에 극락의 내영도(來迎圖)와 보다 많은 청문중을 묘사하는 경우이다.

천은사 아미타후불탱화는 ②의 형식을 취한, 군도형식(群圖形式)이다. 특히 이 탱화는 각 존상마다 명문(銘文)을 적어놓아 아미타불화 연구에 중요한 자료가 된다. 명문에 주존(主尊)의 명칭을 ‘광명보조수명 난사48대원 무량수여래불(光明普照壽命難思四十八大願無量壽如來佛)’이라 하였는데, 이는 아미타불 가운데서도 무량수불의 성격을 강조한 작품임을 알 수 있다. 비교적 보존상태가 양호한 편이며 색채는 녹색이 주조이다.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