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문도

천문도

[ 天文圖 ]

요약 오행설로 십이간지와 중국 본토의 종주국 주를 중심으로 하고 주위에 제후제국을 11방에 배치하여 천체의 분야와 연결시켜 그려 놓은 천문도를 말하며 현재 연세대학교에 소장되어 있다.
구분 필사본, 천문도
시대 조선시대(1800)
소장 연세대학 소장

. 1첩. 1800년( 24)경 간행. 소장. 원형의 천체 중심점을 왕좌성(王座星)인 을 기준으로 하여 천체 전부를 방사선으로 12등분하고 구획마다 다음과 같이 분야를 정하였다.

즉, 자(子)의 제(齊)는 쌍어궁(雙魚宮), 축(丑)의 오(吳)는 보병궁(寶餠宮), 인(寅)의 연(燕)은 마갈궁(磨竭宮), 묘(卯)의 송(宋)은 인마궁(人馬宮), 진(辰)의 정(鄭)은 천와궁(天蝸宮), 사(巳)의 초(楚)는 천칭궁(天秤宮), 오(午)의 주(周)는 쌍녀궁(雙女宮), 미(未)의 진(秦)은 사자궁(獅子宮), 신(申)의 진위(晉魏)는 거해궁(巨蟹宮), 유(酉)의 조(趙)는 음양궁(陰陽宮), 술(戌)의 노(魯)는 금우궁(金牛宮), 해(亥)의 위(衛)는 백양궁(白羊宮)이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