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정제

진정제

[ sedative/depressant/downer , 鎭靜劑 ]

요약 중추신경계가 흥분한 상태를 진정시키는 약물이며 마취제, 최면제, 진통제, 항불안제 등을 포함한다.

진정제는 각성제와 반대 입장에 있는 약물로서, 중추신경계에 작용하여 수면을 유도하고 긴장을 완화시키는 효과를 나타낸다. 이러한 물질은 불면증이나 지나친 불안, 고민을 해소하는 데 도움을 주지만, 너무 많은 양을 사용하면 위험할 수 있으며 의존성과 중독성이 있기 때문에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마취약으로 사용하는 약물도 있으며, 광범위하게 볼 때는 술도 이러한 진정제에 속한다.

진정제의 작용과 부작용
모든 진정제가 동일한 방식으로 작용하지는 않지만, 일반적으로 진정제의 주된 효과는 중추신경계의 신경전달물질 중 하나인 GABA(gamma-aminobutyric acid)의 활성을 증가시켜서 잠이 오게 하는 것이다. 하지만 GABA의 양이 너무 많아지게 되면 호흡과 심장박동이 너무 느려지기 때문에 죽음에 이르게 될 수도 있어서, 사용에 주의해야 한다. 한 번에 많은 양을 사용하지 않더라도, 진정제는 중추신경계에 작용하기 때문에 의존증이 생기게 된다. 의존 상태거나 중독 상태일 때 약물을 중단하게 되면 금단증상이 생기게 되어 불면증이나 불안증이 발생할 수 있다. 이러한 문제는 심각하게 나타날 수 있기 때문에 대부분의 진정제는 향정신성의약품으로 분류되어, 허가를 받지 않은 사람이 다룰 수 없게 되어 있다.

진정제의 종류  
일상에서 가장 흔히 접할 수 있는 진정제로는 술이 있다. 술에 포함된 에틸알코올은 진정효과를 나타내지만, 때문에 술은 의존성을 가지고 있기도 하다. 다이에틸에테르, 클로로폼도 이러한 진정 효과를 가지고 있다. 약품으로 사용되는 진정제는 벤조다이아제핀 계열이 있다. 여기서는 발륨(Valium)이라는 상표명으로 알려진 다이아제팜이 가장 유명하다. 또한 대마초(마리화나: marijuana)나 양귀비(아편)에서 추출하는 진통제인 모르핀, 모르핀을 정제해서 만드는 헤로인 같은 약품과 마약들도 이러한 진정제에 속한다.

참조항목

, , , ,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