진도

진도

[ seismic intensity,magnitude , 震度 ]

요약 지진이 일어났을 때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림 정도를 수치로 표현한 것으로 정해진 설문을 기준으로 계급화한 척도이다. 그렇지만 근래는 계측기에 의해서 직접 관측한 값을 쓰는 경우도 많다. 이 값은 지진의 규모와 진앙 거리, 진원 깊이에 따라 크게 좌우될 뿐만 아니라 지진이 발생한 지역의 지질 구조와 구조물의 형태 등에 따라 평가가 달라질 수 있다.

지진의 세기를 표현할 때는 절대적인 개념의 규모(magnitude)와 상대적인 개념의 진도(intensity)를 많이 사용한다. 규모는 1936년 미국의 지진학자인 리히터(Richter)가 제안한 개념으로 리히터 규모로 알려져 전 세계적으로 사용된다. 규모는 지진 발생 시에 방출되는 에너지의 양을  나타내므로 지역에 관계없이 일정하다. 에너지(E)와 지진의 규모(M)는 log10 E= 11.8 + 1.5 M 의 관계를 가진다. 따라서 규모와 진도는 1대1 대응이 되지 않고, 하나의 지진에 대하여 여러 지역에서의 규모는 동일 수치이나 진도계급은 달라질 수 있다.

진도는 계급값을 쓰는 대신 가속도단위(cm/sec²)로 나타내기도 하고, 중력가속도 1g=980cm/sec²를 사용하기도 한다. 또한 cm/sec²는 gal로 표시하며 1g=980gal이라고도 쓴다. 국제적으로 '규모'는 소수 첫째자리까지 아라비아 숫자로, '진도'는 정수 단위의 로마숫자로 표기하는 것이 관례이다.

진도계급은 세계적으로 통일되어 있지 않으며 나라마다 실정에 맞는 척도를 채택하고 있다. 일본의 일본 기상청 계급(JMA Scale : Japanese Meteological Agency Scale), 미국의 수정 메르칼리진도 계급(MM Scale : Modified Mercalli Scale), 구소련을 중심으로 발달한 MSK Scale(Medvedec-Sponheuer-Karnik)등이 그것이다.

우리나라는 과거 일본 기상청 계급(JMA Scale)을 사용하여 왔으나 2001년 1월 1일부터는 미국에서 시작되어 여러 나라가 사용하는 수정 메르칼리진도 계급(MM scale : Modified Mercalli intensity scale:)을 사용한다. 세계 학계에서도 MM scale을 기준으로 삼고 있는데, 이는 지진 발생시 특정 장소에서 사람의 느낌이나 주변의 물체 또는 구조물의 흔들리는 정도를 계급화한 것이다. JMA scale이 10계급을 갖는 반면, MM scale과 진도 계급의 국제적 통일을 시도한 MSK scale(Medvedev, Spouheur, Karnik)은 12계급을 갖는다.

[일본 기상청 계급(JMA Scale)]

[일본 기상청 계급(JMA Scale)]
진 도 상 황

0

사람이 느낄 수 없음.

1

조용한 실내에서 흔들림을 어렴풋이 느끼는 사람이 있음.

2

조용한 실내에서 대부분의 사람들이 흔들림을 느낌.

3

실내에 있는 사람의 대부분이 흔들림을 느낌.

4

대부분의 사람이 놀람. 전등 등 달려 있는 물건들이 크게 흔들림. 잘 못 둔 물건이 쓰러지는 경우가 있음.

5약

대부분의 사람이 공포를 느끼고, 물건을 잡으려 함. 선반에 있는 식기류와 책이 떨어지는 경우가 있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가구가 이동하는 경우가 있고, 불안정한 것은 쓰러지는 경우가 있음.

5강

물건을 잡지 않으면 걷기 어려움. 선반에 있는 식기류와 책 중 떨어지는 것이 많아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가구가 쓰러지는 경우가 있음. 보강(補强)되어 있지 않은 콘크리트벽이 무너지는 경우가 있음.

6약

서 있는 것이 어려워 짐.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가구의 대부분이 이동하고, 쓰러지는 것도 있음. 문이 안 열리는 경우가 있음. 벽의 타일과 창문 유리가 파손, 낙하라는 경우가 있음. 내진성이 낮은 목조건물은 기와가 떨어지기도 하고, 건물이 기울어지기도 함.

6강

엎드리지 않으면 움직일 수가 없음. 튀어 오르는 경우가 있음. 고정되어 있지 않은 가구는 대부분이 움직이고, 떨어지는 것이 많아짐. 내진성이 낮은 목조건물은 기울어지기도 하고 쓰러지는 경우가 많아짐. 땅의 갈라짐이 일어나기도 하고, 산의 붕괴가 발생하는 경우가 있음.

7

내진성이 낮은 목조건물은 기울어지거나 쓰러지는 경우가 보다 많아짐. 내진성이 높은 목조 선물이라도 기울어지는 경우가 있음. 내진성이 낮은 철근 콘크리트제 건물이 쓰러지는 경우가 많아짐.




[수정 메르칼리진도 계급(MM Scale)]

[수정 메르칼리진도 계급(MM Scale)]
진 도 상 황

1

미세한 진동. 특수한 조건에서 극히 소수 느낌

2

실내에서 극히 소수 느낌

3

실내에서 소수 느낌. 매달린 물체가 약하게 움직임

4

실내에서 다수 느낌. 실외에서는 감지하지 못함

5

건물 전체가 흔들림. 물체의 파손, 뒤집힘, 추락. 가벼운 물체의 위치 이동

6

똑바로 걷기 어려움. 약한 건물의 회벽이 떨어지거나 금이 감. 무거운 물체의 이동 또는 뒤집힘

7

서 있기 곤란함. 운전 중에도 지진을 느낌. 회벽이 무너지고 느슨한 적재물과 담장이 무너짐

8

차량 운전 곤란. 일부 건물 붕괴. 사면이나 지표의 균열. 탑, 굴뚝 붕괴

9

견고한 건물의 피해가 심하거나 붕괴. 지표의 균열이 발생하고 지하 파이프관 파손

10

대다수 견고한 건물과 구조물 파괴. 지표 균열, 대규모 사태, 아스팔트 균열

11

철로가 심하게 휨. 구조물 거의 파괴. 지하 파이프관 작동 불가

12

지면이 파도 형태로 움직임. 물체가 공중으로 튀어오름

역참조항목

박병천, 하남호

카테고리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