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형학

지형학

[ geomorphology , 地形學 ]

요약 지표의 형태와 그 형성과정을 연구하는 학문을 말하며 지형의 발달과정과 지표를 이루는 암석의 성질 ·지형형성에 작용하는 힘 ·기후 ·시간 등의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의 발달과정과 지표를 이루는 의 성질 ·지형형성에 작용하는 힘 ·기후 ·시간 등의 상호관계를 연구한다. 근대과학으로서 체계화된 것은 19세기 말 W.M.데이비스가 모든 지형은 시간의 경과에 따라서 일정한 변화과정을 거친다는 가설(침식윤회설)을 발표한 이후부터이다. 비슷한 시기에 G.K.길버트는 지형연구를 단순한 관찰에 의한 서술에 그치지 않고 지형형성에 관계된 힘을 정량적으로 살피는 쪽으로 연구방향을 설정하였다. 제2차 세계대전 후에는 지형형성과 기후와의 관계를 연구하는 기후지리학(氣候地理學)이 새로운 분야로 등장했다. 또한 일정한 지역 내에서 지형형성의 시대적 순서를 규명하는 새로운 지형학의 한 분야로 지형발달사가 개척되었다. 근래에는 지형 자체의 계측과 관측을 근거로 한 통계적 ·정량적 연구와, 지형형성에 작용한 힘에 대한 물리적 ·수문학적(水文學的) 연구의 정량적 지형학이 비약적으로 발달하고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