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구타원체

지구타원체

[ earth ellipsoid , 地球楕圓體 ]

요약 지구의 모습을 비교적 실제와 가깝게 나타낸 회전타원체를 말한다. 지구타원체는 기하학적으로 지상측량을 하여 결정하는 방법, 광범위한 지표면에서 중력값을 측정하여 중력이론에 따라 결정하는 방법, 인공위성의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이 있다.

지구는 완전한 구(球)가 아니라, 적도반지름이 극반지름보다 약간 긴 일그러진 타원체이며, 그 표면은 산과 바다 등으로 복잡하게 둘러싸여 있다. 지구타원체는 이러한 지표면의 요철을 무시하고, 적도반지름과 편평도만으로 지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이다. 이에 대해 지표면의 요철을 다소나마 고려하기 위하여 평균해수면을 연장하여 지구의 모습을 나타낸 것을 지오이드라 한다. 그러나 지오이드는 너무 복잡하여, 그대로는 지구의 모습을 표현하기에 어려움이 많으므로, 지구의 모습은 대개 지오이드와 가장 근사한 지구타원체를 이용하여 나타낸다.

지구타원체를 만드는 데는 크게 다음 3가지 방법이 있다. ① 기하학적으로 지상측량을 하여 결정하는 방법, ② 광범위한 지표면에서 중력값을 측정하여 중력이론에 따라 결정하는 방법, ③ 인공위성의 관측결과를 이용하여 결정하는 방법이다. 이러한 지구타원체는 지도를 만들 때 그 기준타원체로 활용된다. 그러나 기준타원체는 나라마다 다소 차이가 있으며, 한국에서는 세계 각지의 자오선 측량 결과와 가장 잘 일치하는 베셀타원체를 채택하고 있다. 국제측지학협회는 좀더 정확한 지구타원체로서 3축부등의 타원체를 생각하여 《측지기준계》(1980)에 그 개략값을 발표하였다. 그 값은 적도면 타원의 편평도가 1/90000, 타원의 장축방향은 서경 15 °이다.

역참조항목

국제타원체, 타원체

카테고리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