줄루족

줄루족

[ Zulu ]

요약 아프리카의 반투어족(語族) 응구니종족군에 속하며, 남아프리카공화국의 나탈주(州)를 중심으로 분포하는 종족.
줄루족 전통 공연

줄루족 전통 공연

인구 약 200만이다. 응구니종족군은 폰도 ·텐푸 ·호사의 제어족(諸語族)과 더불어 남응구니를 대표하는 과 북(北)응구니를 대표하는 줄루족으로 구성되어 있다. 그 가운데서도 줄루족은 주변의 여러 종족을 거느리고 18세기 말에 강대한 줄루 왕국을 세워 불루인(人) 및 영국 식민세력에 강력히 반항하였으나, 1879년 마침내 영국에 패배하였다. 줄루 왕국은 ‘검은 나폴레옹’이라 일컬어진 샤카가 세운 나라이다. 그는 군략(軍略)에 천부의 자질을 타고나, 난세(亂世)에 편승하여 왕국을 수립하였는데, 그 군사적 성공은 전통적인 부족조직인 연령집단(年齡集團:年齡階梯制)이 군사조직으로서 충분히 활용된 때문이라 한다. 이와 같은 군정적(軍政的) 국가체제는 다른 응구니종족군에도 거의 공통된 것이지만, 남동 아프리카의 또 하나의 유력한 종족군인 소토계(系) 제족(諸族)에서는 주술종교(呪術宗敎)의 의례(儀禮)를 중심으로 한 왕제(王制)가 특징적이다. 최근까지 남아프리카공화국 내의 영국보호령이던 스와질란드와 바수톨란드(현재의 )는 이와 같은 두 유형(類型)을 각각 나타내고 있다.

왕국체제하의 줄루족의 연령계제제에서는 전사계제(戰士階梯)가 왕실군(王室軍)에 직결되어, 각각 지역사회에서 입영(入營)해 오는 청년전사를 모두 왕의 마을(왕궁이 있는 곳)에 상주(常駐)시켜 왕가의 밭을 갈거나 목축을 시켰다. 왕가의 막대한 부(富)는 왕실군의 유지와 공적 의례에 쓰거나, 백성의 곤궁이나 불시의 재난에 대비해서 저축되었다. 8∼10년의 병역의무를 마친 자는 향리로 돌아가 결혼하여 그 지역사회의 완전한 성원(成員)으로서 회의에 참가하였다. 또, 왕의 군사 ·행정상의 권한을 억제하는 기관(機關)으로서 귀족계층이나 지역사회의 대표로 평의회(評議會)가 설치되어 있었다. 줄루족이나 응구니 제족은 부계적(父系的)인 가족 ·친족조직을 가지며, 목우(牧牛)를 하는 농목민(農牧民)이며, (一夫多妻婚)적 대가족을 거느린 가정을 이룬다. 줄루족은 주처(主妻:初妻)의 장남이 이를 상속하지만, 스와지족은 가족회의에 의해서 상속자가 정해진다. 그 어느 경우도 다처혼에 수반되는 처들이나 자식들 사이의 서열(序列)과 차별이 복잡하다. 부계적인 친족조직, 특히 조직이 지역사회 형성에 크게 작용하여, 유력한 씨족의 우두머리들은 귀족계층을 구성한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