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천문집

죽천문집

[ 竹川文集 ]

요약 조선 중기의 문신 ·학자 박광전(朴光前:1526~1597)의 시문집.
구분 목판본, 시문집
저자 박광전
시대 조선시대(1754)
소장 규장각

목판본. 9권 4책. 규장각도서. 1754년 후손 박봉석(朴鳳錫) 등이 편집하여 초간하였고, 1809년 용산서원(龍山書院)에서, 1929년 죽곡정사(竹谷精舍)에서 각각 중간되었다. 권두에 (宋穉圭) ·(尹鳳朝)의 서문과 범례(凡例)가 있다. 부(賦) ·소(疏) ·서(書) ·잡저 ·기(記) ·발(跋) ·묘지 ·부록 등으로 구성되었으며, 권말에 기정진(奇正鎭) ·오진영(吳震泳) 등의 발문이 있다. 부가 17편으로 저자의 문장력을 알 수 있다.

<둔전부(屯田賦)>에서는 병농일치가 되어야 국방이 강화됨을 강조하고 있고, <제갈풍부(諸葛風賦)>에서는 (諸葛亮)을 추모하고 있으며, <포석정부(鮑石亭賦)>는 포석정에서의 감회를 쓴 글이다. 편지 중 이황(李滉)에게 보낸 것은 《(朱子書節要)》 중에서 의문이 나는 곳에 대해 질문한 것이며, 잡저의 <임진거의시격문(壬辰擧義時檄文)>은 저자가 1592년 7월 (任啓英) 등과 함께 의병을 일으킨 기록이다. 이 외에 <천심인애인군론(天心仁愛人君論)> <제위문왕론(帝謂文王論)> 등에는 저자의 사상적인 경향이 잘 나타나 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