죽각문집

죽각문집

[ 竹閣文集 ]

요약 조선 중기의 학자인 이광우(李光友)의 시문집.
구분 시문집
저자 이광우(李光友)
시대 조선 중기
소장 국립중앙도서관

목판본. 2권 1책. 국립중앙도서관 소장. 장서각도서. 유치명(柳致明)의 과 유의정(柳宜貞)의 발문이 있으며, 청향당 실기와 함께 경신년(1860)에 후손들이 편집, 간행하였다. 시 ·서(書) ·잡저 ·서(序) ·제문과, 부록인 연보 ·세계도(世系圖) ·언행록 ·행장 등으로 구성되었다. 저자는 영남학파의 양대 거두인 조식(曺植)과 이황(李滉)의 양 문하에서 수학하였는데, 시 중에서 <배남명선생상두류산(陪南溟先生上頭流山)>과 <방퇴계선생입청량산(訪退溪先生入淸凉山)>은 저자와 조식, 이황과의 인연을 알 수 있게 한다. <덕천배문록(德川拜門錄)>은 조식에게 경의(敬義)에 대하여 질문한 것이며, <도산배문록(陶山拜門錄)>은 이황에게 (理氣論)에 대해 질문한 것으로 저자의 학문관이 나타나 있다. 서(書)는 김우옹(金宇顒) ·정구(鄭逑) ·정인홍(鄭仁弘)과 주고 받은 것이 있다. 김우옹에게 보낸 편지에는 조식이 경의(敬義)를 강조한 것을 다시금 확인하고 있다. 언행록에 의하면 저자는 소학을 학문의 근본으로 하고, 성경(誠敬)를 제일의 공부로 했다. 1982년 아세아문화사에서 간행한 이 《덕천급문제현집(德川及門諸賢集)》에 포함되어 있다.

참조항목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