주형

주형

[ 宙衡 ]

요약 조선 후기 학자 이재(李縡:1680∼1746)가 경전(經傳)과 제자(諸子) 및 역대의 사서(史書) 중에서 처변(處變)에 관한 것만을 발췌하여 강(綱)과 목(目)으로 분류하여 만든 책.
구분 필사본
저자 이재
시대 1786년
소장 규장각

. 25권 14책. 도서. 저자가 죽은 뒤 40년 후인 1786년(정조 10)에 완성되었다. 위로는 삼대(三代)로부터 아래로는 송나라 제유(諸儒)의 적인 학설에 이르기까지 총망라하였으나, 순서는 연대순으로 한 것이 아니라 사류(事類)에 따라서 정하였다.

주요 내용을 보면 권1∼2는 부자(父子)에 관한 편으로 〈부자형제간처변(父子兄弟間處變)〉 〈거상변례(居喪變禮)〉 등이 있고, 권3·4는 군신(君臣)에 관한 편으로 〈선수(禪受)〉 〈불기군(不欺君)〉 등이 있고, 권5는 부부에 관한 편으로 〈혼인변례(婚姻變禮)〉, 권6은 형제에 관한 편으로 〈붕우천약(朋友踐約)〉, 권7∼12는 학술에 관한 편으로 〈인물성동이지변(人物性同異之辨)〉 〈독서지법(讀書之法)〉, 권13∼16은 치도(治道)를 논한 편으로 〈수내정(修內政)〉 〈명교화(明敎化)〉, 권17은 출처(出處)에 관한 편으로 〈출처득실(出處得失)〉, 권18∼23은 응사접물(應事接物)편으로 〈언어지절(言語之節)〉 〈애물지인(愛物之仁)〉, 권24·25는 상론인물(尙論人物)편으로 삼대로부터 송대에 이르기까지의 역대 인물을 논하였다.

중국 역대의 사상가와 조선 후기 유학자의 사상을 연구하는 데 이용될 수 있는 자료이다.

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