좌익

좌익

[ left , 左翼 ]

요약 정치사상의 경향을 나타내는 개념으로 ‘좌파’라고도 하며 ‘우익(우파)’와 대립되는 말로 쓰인다. 일반적으로 안정보다는 변화, 성장보다는 분배와 복지를 강조하는 경향을 지닌 정치사상이나 정치세력을 가리킨다. 

‘좌파(左派)’라고도 하며 ‘우익(우파)’와 대립되는 말로 쓰인다. 프랑스혁명(1789∼1799) 당시 제1기 국민의회(國民議會, National Assembly)에서 의장석을 기준으로 오른쪽에 왕당파가, 왼쪽에 비특권계급인 제3신분을 대표하는 공화파가 주로 앉았던 것에서 유래되었다. 이후 국민공회(國民公會, Convention nationale)에서도 왼쪽에 급진파인 자코뱅당(Jacobins)이, 오른쪽에 온건파인 지롱드당(Girondins)이 앉으면서 좌익과 우익은 각각 급진적 변혁과 보수적 안정을 지향하는 정치사상이나 세력을 가리키는 말로 쓰이게 되었다.

일반적으로 안정보다는 변화, 성장보다는 분배와 복지를 강조하는 경향을 지닌 정치사상이나 정치세력을 가리키지만, 좌우의 구분은 판단 기준에 따라 변화하므로 실제 그 의미는 조건과 상황에 따라 다르게 나타난다. 예컨대 정치 문화의 영향력이 강한 사회에서는 적인 의 경향조차도 좌익으로 분류될 수 있지만, 자유민주주의 정치 문화의 영향력이 강한 사회에서는 우익으로 분류될 수도 있다. 동일한 정치사상이나 정치세력 내부에서도 다시 좌우의 구분이 이루어지기도 한다. 예컨대 일반적으로 좌익 정치세력으로 분류되는 사회주의 정당 내부에서도 급진파와 온건파를 각각 좌파와 우파로 구분하기도 한다. 이처럼 좌익과 우익은 진보와 보수처럼 그 구별이 명확히 고정된 개념이 아니라 상황과 조건에 따라 의미가 변화하여 쓰이는 상대적 개념이며, 중도좌파, 극좌파 등으로 더욱 세분화하여 사용하기도 한다.

한국 사회에서도 역사적·사회적 상황의 변화에 따라, 각 정치세력의 사상적 기준과 이해 관계에 따라 좌익의 개념은 다른 의미로 쓰여왔다. 그러나 한국 사회에서는 분단국가라는 현실 때문에 좌익이라는 말이 그 실질 내용과 무관하게 국민 대다수에게 부정적으로 인식되는 특징을 보여 왔다. 반공주의와 개발주의 이데올로기가 지배적이었던 군사정권 시대에서는 대립된 모든 정치사상과 세력, 집단운동을 좌익으로 분류하며 탄압했다. 뚜렷한 정치사상적 지향을 지니지 않은 노동자와 농민, 도시빈민 등의 생존권 요구나 종교기관의 온정적 개입, 노동조합이나 협동조합 등 다양한 사회운동, 민주화를 요구하는 자유주의적인 정당 활동 등도 모두 좌익으로 낙인찍혔다. 1987년 민주화 이후에는 정치사상의 분화가 뚜렷해지면서 우익 사회운동과 시민운동도 등장해 국가의 권위에 도전하는 모든 사회운동 자체를 좌익으로 여기는 기존의 권위주의적 인식이 통용될 근거가 사라졌으며, 좌익에 대한 부정적 인식도 어느 정도 약화되었다. 하지만 전쟁과 분단을 거치며 형성된 특수한 역사적 경험 때문에 여전히 좌익이라는 말에 대한 반감이 사회 안에 뿌리 깊게 자리잡고 있다. 그리고 일부 정치세력이 이를 이용해 자신과 대립되는 세력과 주장을 그 실질적인 내용과 무관하게 일방적으로 좌익이라고 몰아붙이는 현실이 되풀이되고 있다. 따라서 한국 사회에서 좌익이라는 개념은 그 정치사상의 고유한 내용과 특질에 따라 쓰이기보다는 국가나 정권의 지배이념과 정책을 반대하고 대립되는 일체의 세력을 가리키는 말로 모호하게 사용되는 경향이 크다. 

참조항목

, , , , , ,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