종교지리학

종교지리학

[ geography religion , 宗敎地理學 ]

요약 종교적 원칙하에서 지상의 공간질서를 생각한 종교 교리상의 지리학, 또는 전도활동의 자료인 종교분포도 등을 매체로 하여 역사적으로 발전해 온 새로운 학문 분야.

종교와 그것이 행해지고 있는 지방(자연적 ·사회적 환경)과의 상관관계, 종교체계 간의 공간적 상호관계 등을 조사 ·자료화하여 이론 구성을 꾀하는 것이 오늘날 종교지리학의 목표이다. 이제까지의 성과를 주요한 연구과제로 종합하면 다음과 같다. ① 종교에 영향을 끼친(생태학적) 환경:유대교에서 볼 수 있는 목축 및 농경과 관련된 제식, 목축 ·수렵과 (一神敎), 농경과 와의 관계성을 논한 연구 등 많은 연구업적을 볼 수 있다. ② 토지구조에서 종 영향:음식 터부에 입각한 동식물의 집산(集散)상황, 종교에서 유래된 토지의 호칭, 종교적 건조물(피라미드 ·교회 등), 종교적 조성지 등을 문제로 들 수 있다. ③ 종교와 경제활동:교의(敎義)에 의하여 직업을 규제하는 자이나교도, 의례용 술의 산업화, 경제활동을 지탱하는 종교윤리에 대한 연구 등이다. ④ 종교분포:수량적 연구뿐만 아니라 종교체계 상호간의 관계도 다루며, 이들의 평화적 공존 ·경쟁관계 ·배척관계 등으로 구분하여 고찰한다. ⑤ 생활양식에서의 종교적 요소:주거 ·음식 ·의상 ·생활관습 등에서의 종교적 요소를 본다. ⑥ 종교조직과 정치조직:국가와 종교집단, 종교집단과 정당, 종교와 정치의 관계분리를 주제로 한다. 이 중 ③과 ⑥은 종교사회학과의 관련이 깊은 연구범위로서, 서로 영향을 미치면서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

참조항목

,

카테고리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