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현명

조현명

[ 趙顯命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경상도관찰사 재직 중 쓰시마섬의 화재로 조정에서 쌀을 보내려 하자 반대하여 파직되었으나, 전라도관찰사, 이조판서, 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뒤 우의정에 올랐다. 탕평책(蕩平策)을 지지했으며, 효행으로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출생-사망 1690 ~ 1752
본관 풍양(豊壤)
치회(稚晦)
귀록(歸鹿)·녹옹(鹿翁)
시호 충효(忠孝)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귀록집》

본관 풍양(豊壤). 자 치회(稚晦). 호 귀록(歸鹿)·녹옹(鹿翁). 시호 충효(忠孝). 집안은 서인이었고, 후에는 에 속하였다. 1713년(숙종 39) 진사시(進士試)에 합격하고, 1719년 증광문과(增廣文科)에 병과로 급제해 검열(檢閱)이 되고, 용강현령(龍岡縣令)·지평(持平) 등을 거쳐, 1728년(영조 4) 이인좌(李麟佐)의 난 때 도순무사(都巡撫使) 오명항(吳命恒)의 휘하에서 종사관(從事官)으로 공을 세워, (奮武功臣) 3등에 책록되고, 풍원군(豊原君)에 봉해졌다. 그 해 이 되고, 의금부동지사(義禁府同知事)·도승지를 거쳐, 1731년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

이듬해 쓰시마섬[對馬島]의 화재로 조정에서 쌀을 보내려 하자 반대하여 파직되고, 1733년 전라도관찰사에 기용된 뒤 총융사(摠戎使)·공조참판을 지냈다. 1736년 이조판서가 되고, 예조판서로 전임하여 형정(刑政)의 불공평을 상소하다가 파직되었으며, 1738년 복직되어 한성부판윤·공조판서 등을 역임한 뒤 1740년 우의정에 올랐다.

1743년 문안사(問安使)로 청나라에 다녀오고, 1746년 돈령부영사(敦寧府領事)를 거쳐 재차 우의정이 되고, 1749년 진하 겸 (進賀兼謝恩使)로 청나라에 다녀온 뒤 이듬해 영의정에 올랐다. (蕩平策)을 지지했으며, 효행으로 정문(旌門)이 세워졌다. 시조 1수가 《해동가요(海東歌謠)》에 전한다. 문집에 《귀록집》이 있다.

참조항목

, , ,

역참조항목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