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태억

조태억

[ 趙泰億 ]

요약 조선 후기의 문신. 호조참판 때 세제(世弟:英祖)의 책봉과 대리청정을 반대하여 철회시켰다. 신임사화(辛壬士禍)를 일으켜 노론을 거세하고 정권을 잡았으며, 영조가 즉위하자 즉위의 반교문(頒敎文)을 작성, 좌의정에 이르렀다.
출생-사망 1675 ~ 1728
본관 양주(楊州)
대년(大年)
겸재(謙齋) ·태록당(胎祿堂)
시호 문충(文忠)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겸재집(謙齋集)》

본관 양주(楊州). 자 대년(大年). 호 겸재(謙齋) ·태록당(胎祿堂). 시호 문충(文忠). 1693년(숙종 19) 진사가 되고, 1702년 식년문과(式年文科)에 을과로 급제, (正言) 등을 거쳐 1707년 문과중시(文科重試)에 병과로 급제하였다. 1708년 이조정랑을 거쳐 우부승지를 지내고 다음해 철원부사로 나갔다가 1710년 에 오르고 통신사(通信使)가 되어 일본에 다녀왔다. 1714년 공조·예조 참의를 거쳐 1717년 여주목사로 나갔다가 1719년 장례원판결사가 되었다. 1720년(경종 1) 경상도관찰사로 나갔다가 호조참판 때 세제(世弟:英祖)의 책봉과 대리청정을 반대하여 철회시켰다.

(辛壬士禍)를 일으켜 노론을 거세하고 정권을 잡아 이듬해 형조판서가 되고, 공조·호조의 판서로 대제학을 겸하였다. 1724년 영조가 즉위하자 즉위의 반교문(頒敎文)을 작성하고, 우의정에 승진한 뒤 이듬해 좌의정이 되었으나 민진원(閔鎭遠) 등의 논척으로 삭직되었다. 1727년(영조 3) 정미환국(丁未換局)으로 재차 좌의정에 복직된 후 이듬해 병으로 사직하고, 영돈령부사(領敦寧府事)에 전임되었다. 1755년 나주(羅州)의 벽서사건으로 관작이 추탈되었다. 초서(草書)·예서(隸書)를 잘 썼으며, 영모(翎毛)를 잘 그렸다. 1908년(순종 2)에 복관되었다. 문집에 《겸재집(謙齋集)》이 있다.

참조항목

, , , , ,

역참조항목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