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직화학

조직화학

[ histochemistry , 組織化學 ]

요약 조직학과 생화학의 경계영역이며, 조직 절편(組織切片)에 의해서 구조를 유지하면서 조직내 여러 물질의 분포를 연구하는 학문영역이다. 방법적으로는 생체재료를 고정시켜 절편을 만들고 이것을 염색하여 관찰하는 것이다. 이 외에도 형광항체법 등의 방법도 쓰이고 있다.

생체재료를 고정시켜 으로 만드는 것 외에, 고정시키지 않고 동결절편에 의하는 경우도 많다. 일반적으로 이들 절편에 특이한 염색법을 사용한다. 예를 들면, 지방에 대한 수단 Ⅲ법, 글리코겐에 대한 베스-카민법, 디옥시리보핵산에 대한 포일겐 반응, 핵산에 대한 우나-파펜하임법(RNA는 피로닌에 의해 적색, DNA는 메틸그린에 의해 녹색으로 염색하는 법), 포스포타아제에 대한 고모리 염색법, 에 대한 ·은환원법 등이 있다.

이것들에 의해서 염색상을 조사하는 방법 외에, 무기물질에 대한 현미회화법(顯微灰化法), 라디오오토그래피, 현미분광 측정법, 형광항체법(螢光抗體法) 등의 방법이 있다. 그러나 어떤 물질을 동정(同定)하는 데 있어 특이성이 의문시되며, 위와 같은 방법과 미량화학분석법의 병용이 필요하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