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선가족제도연구

조선가족제도연구

[ 朝鮮家族制度硏究 ]

요약 한국가족제도에 관한 김두헌(金斗憲:1903~1981)의 연구서.
구분 연구서
저자 김두헌
시대 1949년

1949년 을유문화사 간행. 1969년 서울대학출판부에서 《한국가족제도연구》로 개명하고 가로로 조판하여 재간하였다. A5판 772면. 모두 9장으로 구성되어 있는데, 제1장은 (의 혈연적 씨족제, 종족국가의 흥기 등), 제2장은 종족(종족의 구조와 그 기능, 종족지연공동체), 제3장은 친족(친족의 범위, 친족 간의 죄율, 친족 호칭), 제4장은 가계존속(상속제 ·양자제 ·서얼), 제5장은 가족(가장적 가족, 가산, 가족의 구성), 제6장은 가례(예의 기원, 예속의 변천), 제7장은 혼인(관혼의 의례, 통혼조건 ·축첩 ·이혼 ·재혼), 제8장은 상제(상복제 등), 그리고 제9장은 가족제도의 붕괴과정에서는 현대적인 개별가족형태의 출현을 다루고 있다. 한국가족제도를 역사적인 맥락에서 비교문화론적인 시각으로 접근하고 있는 점이 이 연구서의 특징이다. 한국가족연구의 기초를 마련해준 책으로 평가되나, 고조선의 혈연적 씨족제, 상속제 ·양자제 ·족보 등에 대해서는 반론이 제기되었다.

참조항목

역참조항목

카테고리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