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비

조비

[ 曹丕 ]

요약 중국 삼국시대 위나라의 초대 황제(재위 220-226). 새로운 관리선발제도인 9품관인법을 시행하는 등 내정 개혁에 힘썼으나 즉위한 지 7년만에 죽어 의도한 성공을 이루지 못했다. 당대 문인(文人)으로 명성이 높았고, 문학을 장려했다. 주요 저서에는 《전론》 《위문제집》 등 100여 편이 있다.
출생-사망 187 ~ 226
자환
시호 문제
국적 중국 삼국시대 위(魏)
활동분야 정치
주요저서 《전론》 《위문제집》

자(字)는 자환(子桓), 시호(諡號)는 문제(文帝)로 중국 삼국시대 위(魏) 나라의 초대 황제이다. (曹操)의 셋째 아들로 태어났지만, 유씨(劉氏)씨가 낳은 조앙(曹昻)과 조삭(曹鑠)이 모두 일찍 죽고, 그의 어머니인 변씨(卞氏)가 황후(皇后)가 되어 조조의 적장자(嫡長子)가 되었다. 조조는 원소에 대항한 관도전투에서 승리한 뒤 위공이 되었고, 216년에는 위왕으로 봉해져 사실상 새로운 왕조를 개창했다. 하지만 조조는 220년 뤄양[洛陽]에서 사망했고, 조비가 그 뒤를 이어 후한(後漢)의 헌제(獻帝)에게서 양위받는 형식으로 황제가 되었다.

즉위 후 후한(後漢) 말기부터 계속된 사회 혼란을 극복하고 왕조의 기반을 공고히 하기 위해 내정 개혁에 힘썼다. 진군(陳群)의 건의를 받아들여 새로운 관리선발제도인 9품관인법(九品官人法)을 시행했고, 환관(宦官)을 일정 이상의 관위(官位)에 오르지 못하게 금지하는 등 환관(宦官)과 외척(外戚)의 발호를 막기 위한 정책을 실시하였다. 그리고 사회 질서를 유지하기 위해 사사로운 형벌과 보복을 금지하는 등 사회 혼란을 극복하고 안정시키기 위한 여러 정책을 펼쳤다. 그러나 과도한 음주로 얻게 된 병이 악화되자 아들 조예에게 자리를 물려주고 재위 7년만에 죽으면서, 왕조의 기반을 공고히 하는 데는 실패하였다.

한편, 조비는 동생인 (曹植)과 함께 문인(文人)으로서도 이름이 높다. 그는 문학을 장려하였으며, 시(詩)와 부(賦)에 능했다. 그가 쓴 시부(詩賦)는 100여 편이 전해지는데, ‘연행가(燕歌行)’는 후대의 칠언시(七言詩) 창작에 큰 영향을 끼쳤다. 또한 문학평론집인 <전론(典論)>을 편찬했는데, 거기에 수록된 ‘논문(論文)’은 중국에서 가장 오랜 문학이론 비평으로서도 가치가 높다. 오늘날 그의 시는 <위문제집(魏文帝集)> 2권으로 전해진다.


조비 본문 이미지 1조모조모조방조모조예(명제)조환조충조앙조웅조식조창조비

참조항목

,

역참조항목

, , , , , ,

카테고리

  • > > >
  • > > >
  •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