조르조네

조르조네

[ Giorgione ]

요약 이탈리아의 화가. 16세기 베네치아 회화의 창시자로 일컬어지며, 시적이고 암시적인 풍경화로 당대 미술에 혁신을 가져왔다. 그가 이룬 성과는 티치아노의 작품을 통해 계승되었다.
양치기들의 경배

양치기들의 경배

출생-사망 1477? ~ 1510
본명 조르조 바르바렐리 다 카스텔프랑코(Giorgio Barbarelli da Castelfranco)
국적 이탈리아
활동분야 회화
출생지 이탈리아 베네토 카스텔프랑코
주요작품 《폭풍 The Tempest》(c. 1508), 《전원의 합주 Pastoral Concert》(c. 1509), 《잠자는 비너스 Sleeping Venus》(c. 1508~1510)

본명은 조르조 바르바렐리 다 카스텔프랑코(Giorgio Barbarelli da Castelfranco). 1477년경 이탈리아 베네토 지방의 카스텔프랑코에서 태어났다. 조르조네라는 이름은 그가 명성을 얻은 후 ‘대(大) 조르조’라는 뜻으로 붙여진 통칭이다. 그러나 미술사 속에서 그에 대한 기록은 거의 남아 있지 않아 신비한 인물로 알려져 있다. 다만, 16세기의 전기 작가 조르조 바사리(Giorgio Vasari)는 그를 화가이자 탁월한 가수, 그리고 류트 연주자로 기록하고 있다.

조르조네는 일찍이 베네치아로 가서 (Giovanni Bellini)의 공방에서 도제수업을 받으며 명성을 쌓았다. 그는 작품 활동 초기부터 동시대 베네치아 화가들을 단연 능가하는 혁신을 초래했는데, 그의 시적이고 암시적인 풍경화도 이에 해당한다. 당시까지만 해도 풍경은 그저 중심인물을 위한 배경으로 그려졌을 뿐 별다른 의미를 지니지 못했다. 그러나 조르조네는 풍경을 독자적인 그림의 주체로, 또 작품의 분위기를 결정짓는 중요한 요소로 등장시켰다. 이는 17세기에 들어 풍경화가 당당하게 회화의 주인공으로 자리매김하는 기초가 되었다.

조르조네의 대표작 《》은 명확하지 않은 주제로 여전히 수수께끼 같은 작품으로 남아있지만, 풍경에 대한 그의 혁신적인 접근법을 잘 보여준다. 이 작품에서 주목할 점은 번개가 치는 언덕을 따라 있는 도시의 풍경이 전경의 인물만큼이나 중요한 요소라는 사실이다. 또한 조르조네는 그림 속 각각의 요소들을 희미하게 처리해 비밀스러운 의미를 부여했는데, 이 작품은 레오나르도 다빈치(Leonardo da Vinci)가 《》를 그렸던 방식, 즉 윤곽선을 자연스럽게 번지듯이 하여 전체적인 분위기를 부드럽게 해주는 기법을 사용하고 있다. 1499년부터 1500년 사이에 다 빈치가 베네치아에 체류한 점으로 미루어 조르조네가 다 빈치의 작품을 알고 있었고 그의 영향을 받았을 가능성이 높지만, 이에 대해서는 확인할 길이 없다.

조르조네는 빛과 색채를 이용해 논리적인 결말에 분위기를 입혔고, 이야기에 의존했던 종교화와는 달리 감정이 풍부한 작품들을 남겼다. 그는 교회가 아닌 지적인 관심사를 공유했던 수집가들이 주문한 비종교적인 그림을 그리면서 후원자의 개념에도 변화를 일으켰다. 조르조네는 1510년 베네치아를 휩쓸었던 흑사병으로 일찍 생을 마감했다. 그의 나이 32세였고, 작품 활동을 한 것은 단 15년에 불과했다. 하지만 그는 베네치아에서 으뜸가는 화가로 인정받고 있었다. 동료화가였던 세바스티아노 델 (Sebastiano del Piombo)와 티치아노(Titian)가 조르조네의 미완성 작품들을 완성하고 그의 양식과 구성에서의 혁신을 계승했다.

주요 작품에는 《카스텔프랑코의 성모 Castelfranco Madonna》(c. 1504), 《양치기의 경배 Adoration of the Shepherds》(c. 1505), 《라우라 Laura》(1506), 《세 명의 철학자 The Three Philosophers》(c. 1508), 《폭풍 The Tempest》(c. 1508), 《전원의 합주 Pastoral Concert》(c. 1509), 《잠자는 비너스 Sleeping Venus》(c. 1508~1510) 등이 있다.

참조항목

, ,

역참조항목

, , ,

카테고리

  • > >
  • > > >